카테고리 없음

벽돌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chacha13 2025. 6. 7. 14:55
728x90
반응형

위험성평가_위험성평가표(양식).hwp
0.01MB
위험성평가표.pptx
0.04MB

1. 벽돌이란?
2. 벽돌  주요 위험요소
3. 벽돌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4. 벽돌  위험성평가표 예시
5. 실무 적용 팁
6. 관련 법령 및 자료
7. 마무리

🧱 1. 벽돌이란?

벽돌(Brick)은 점토, 시멘트,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된 블록 형태의 건축 자재로, 주로 벽체 조적, 외벽 마감, 기초 보강 등에 사용됩니다.
건식 조적 시공법으로 인한 시공 편의성과 내화성, 내구성이 뛰어난 점이 특징입니다. 최근에는 내장 마감재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2. 벽돌 주요 위험요소

구분 위험요소 설명
낙하 자재 낙하 고소 적재 또는 운반 중 벽돌이 떨어져 하부 인원에게 부상 초래 가능
협착 손·발 끼임 사고 벽돌을 조적하는 중 손가락 끼임, 쌓기 중 벽돌 사이에 협착 우려
무너짐/붕괴 조적 중 구조 불안정 미고정 상태에서 벽체 무너짐, 조적 벽 붕괴에 따른 사고 발생 가능성
비산·파편 절단·파손 시 비산 위험 벽돌 절단 시 조각이 튀어 눈 또는 피부 부상 우려
근골격계 질환 반복적 중량물 작업 벽돌 반복 운반, 허리 굽힘 자세 등으로 인한 허리·어깨 통증 및 질환 가능성
 

📋 3. 벽돌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1. 유해·위험요인 파악
    → 벽돌 운반, 쌓기, 절단 등 작업 단계별 위험요소 도출
  2. 위험성 결정
    → 각 위험요소의 발생 가능성(F), 결과의 강도(S)를 수치화
  3. 위험성 판단
    → 위험도(R = F×S) 기준으로 수용 가능 여부 판단
  4. 우선순위 결정
    → 높은 위험도 순서대로 개선 우선순위 설정
  5. 개선대책 수립 및 실행
    → 보호구 착용, 작업환경 개선, 안전교육 등 대책 마련 및 실행

🧾4.  벽돌 위험성평가표 예시

예시1)
작업단계 위험요소 발생 가능성(F) 결과의 강도(S) 위험도
(R=F×S)
위험등급 개선대책
벽돌 운반 낙하 사고 3 4 12 보통 안전모 착용, 운반 경로 확보
벽돌 쌓기 작업 협착 위험 2 4 8 보통 장갑 착용, 손 위치 주의 교육
조적 중간 상태 붕괴 사고 4 5 20 높음 중간 고정 장치 설치, 순차 조적 준수
벽돌 절단 작업 파편 비산 위험 2 4 8 보통 보안경 착용, 절단방향 관리
반복 작업(벽돌 운반) 근골격계 질환 위험 3 3 9 보통 허리보호대 착용, 인력 분산 운반
 

예시2)

벽돌

자재명 자재 사용 작업명 유해 위험요인 위험등급 안전보건대책 착안
사항
A B C 관리
단계
실행내용
  벽돌 작업내용기입
적재방법         팔렛트 1단으로 적재  
          소운반을 위해 적재시 전도되지 않도록
벽돌을 지그재그로 적재
 
  운반방법         팔렛트 자재 운반시 지게차를 사용하여 운반  
          소운반시 이동식 대차를 사용하여 운반 전용리어카 사용
  양중방법         팔렛트 양중시 낙하되지 않도록 랩 보양  
          팔렛트 양중시 슬링벨트를 사용하여 2줄걸이 양중  
  야적구간         야적구간 라바콘을 사용하여 구획실시  

※위험등급(A,B,C) 와 관리단계(1~4단계)는 현장 여건에 맞게 작성합니다.


🛠️5.실무 적용 팁

  • 절단 시 비산 방지: 절단작업 전 보안경·장갑 착용은 필수
  • 조적 간 간격 확보: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작업 간격 유지
  • 무너짐 방지 조치: 조적 중 중간 고정틀 설치 또는 점검 필수
  • 근골격계 부담 완화: 장시간 작업 시 휴식시간 확보, 운반 장비 활용
  • 낙하 방지 대책: 적재 높이 제한, 운반 시 두 손으로 고정

📚6.  관련 법령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8조 (물건의 취급)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3조 (고소작업)
  • 고용노동부 「건설현장 조적공사 안전작업 가이드」
  • 안전보건공단 「중량물 수작업 취급작업 매뉴얼」

✅7.  마무리

벽돌 작업은 단순한 반복작업처럼 보이지만, 낙하, 협착, 붕괴 등 다양한 위험요소가 상존합니다.
작업 전 위험성평가를 철저히 수행하고, 적절한 안전조치를 실행하는 것이 중대재해 예방의 핵심입니다.

📢 “작지만 무거운 벽돌, 방심하면 큰 사고”
모든 작업자는 기초작업일수록 더욱 철저한 안전관리와 반복 교육을 실천해야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