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석재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chacha13 2025. 6. 7. 14:55
728x90
반응형

위험성평가_위험성평가표(양식).hwp
0.01MB
위험성평가표.pptx
0.04MB

1. 석재란?
2. 석재  주요 위험요소
3. 석재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4. 석재 위험성평가표 예시
5. 실무 적용 팁
6. 관련 법령 및 자료
7. 마무리

🏗️ 1. 석재란?

석재(Stone)는 천연 또는 인조로 만들어진 건축 마감재로, 건물 외장, 계단, 바닥 마감 등에 사용됩니다. 화강암, 대리석, 인조석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주로 절단, 연마, 가공 후 현장에서 시공됩니다.

무게가 무겁고, 가공 시 분진이 발생하며, 표면이 미끄러운 특성이 있어 취급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석재 주요 위험요소

구분 위험요소 설명
낙하 석재 낙하 위험 무거운 석재 운반·설치 중 고정 불량 또는 미끄러짐으로 인한 낙하 사고 위험
절단·베임 날카로운 단면 접촉 절단 가공된 석재 모서리에 손, 팔이 베일 위험
흡입 석분 흡입 석재 절단·연마 시 발생하는 분진(실리카) 장기 흡입 시 폐질환 가능성
근골격계 질환 중량물 반복 취급 석재 운반 및 시공 시 허리, 어깨, 손목 등 손상 위험
낙상 미끄러운 표면 석재 자체 또는 연마 중 발생하는 슬러리로 인해 작업 중 미끄러짐 가능성
협착·끼임 조립 중 손 끼임 좁은 공간에서 석재 시공 시 손 또는 발 끼임 우려
 

📋 3. 석재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1. 유해·위험요인 파악
    → 절단, 운반, 시공, 연마 단계별로 위험요소 도출
  2. 위험성 결정
    → 각 요소의 **발생 가능성(F)**과 결과 강도(S) 평가
  3. 위험성 판단
    → R = F×S로 계산하여 위험도 등급 분류
  4. 우선순위 결정
    → 높은 위험도 항목부터 개선 조치 계획 수립
  5. 개선대책 수립 및 실행
    → 낙하방지구 도입, 보안경·방진마스크 착용, 협착 방지 교육 등

🧾4.  석재 위험성평가표 예시

예시1)

작업단계 위험요소 발생 가능성(F) 결과의 강도(S) 위험도
(R=F×S)
위험등급 개선대책
석재 인양 낙하 사고 3 5 15 높음 로프·체결장비 점검, 낙하방지구 사용
절단 작업 절단면 베임 위험 3 3 9 보통 절단면 연마, 장갑 착용
연마 작업 석분 흡입 3 4 12 보통 국소배기장치, 방진마스크 착용
설치 작업 근골격계 질환 3 3 9 보통 인원 분산, 보조운반장비 사용
연마 후 청소 미끄럼 사고 2 4 8 보통 슬러리 제거, 미끄럼주의 표지 부착
석재 조립 협착·끼임 사고 2 4 8 보통 작업 간격 확보, 손 보호구 착용

예시2)

석재

자재명 자재 사용 작업명 유해 위험요인 위험등급 안전보건대책 착안
사항
A B C 관리
단계
실행내용
  석재 작업내용기입







중량물 취급         석재는 단위중량이 크므로 운반 시 지게차, 호이스트, 크레인 등 기계장비 사용  
          수작업 시 인원 분산, 리프팅보조구 사용, 무리한 자세 금지  
  파손 및 파편비산         절단, 가공 중 파편 튐 방지를 위해 보안경, 안면보호구 착용  
          작업 반경 내 비작업자 접근금지, 방호판 설치 권장  
  절단·베임 위험         석재 절단 시 절단기 안전커버 확인 및 절단면 샌딩처리  
          석재 가장자리 다룰 때 내절단 장갑 착용  
  소음 노출         석재 절단·가공 시 고소음 발생 → 귀마개 또는 귀덮개 착용  
  분진 흡입         석재 절단 시 분진 발생 → 방진마스크 착용, 습식 절단기 사용 권장  
          국소 배기장치 및 집진기 설치로 분진 확산 방지  
  협착 사고         석재 조립·설치 시 끼임 사고 예방을 위한 간격 유지, 신호수 배치  
  넘어짐·전도 사고         석재 적재 시 평탄한 장소에 규격별 정리, 받침목 2점 이상 설치  
          석재 전도 방지를 위한 보관틀 또는 고정벨트 사용  

※위험등급(A,B,C) 와 관리단계(1~4단계)는 현장 여건에 맞게 작성합니다.

 


🛠️5. 실무 적용 팁

  • 석재 낙하방지: 이동·인양 시에는 체결 장비 상태를 사전 점검하고, 낙하방지 슬링 사용
  • 절단면 처리: 작업 전 석재 절단면을 연마하거나 보호캡 설치
  • 분진 대비: 석재 가공 시 물을 사용한 습식 절단 또는 집진장치 설치
  • 미끄럼 주의: 연마 후 발생한 슬러리는 즉시 제거하고, 미끄럼 주의 표지 부착
  • 협착 방지: 좁은 공간 작업 전 사전 교육 및 거치대 활용

📚6.  관련 법령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73조 (중량물 취급작업)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73조 (분진 작업장 안전조치)
  • 고용노동부 「건설현장 석재 시공 안전작업 가이드」
  • 안전보건공단 「분진 발생 작업장 작업자 보호지침」

✅7.  마무리

석재는 무게와 강도는 강하지만, 취급과 가공 과정에서 다양한 위험을 수반합니다. 특히 분진에 의한 만성질환이나 낙하 사고는 작업자의 생명과 직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전 위험성평가와 장비·PPE 준비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 “딱딱한 자재일수록, 더 부드러운 안전관리가 필요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