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덕트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chacha13 2025. 6. 9. 13:11
728x90
반응형

위험성평가_위험성평가표(양식).hwp
0.01MB
위험성평가표.pptx
0.04MB

 

1. 덕트란?
2. 덕트  주요 위험요소
3. 덕트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4. 덕트 위험성평가표 예시
5. 실무 적용 팁
6. 관련 법령 및 자료
7. 마무리

 

🧱 1. 덕트란?

덕트(Duct)는 건축물의 환기, 냉난방, 배기, 배연 등을 위해 공기를 이송하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의 통로입니다. 주로 강판(갈바륨,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유리섬유 등으로 제작되며, 대형 건축물의 기계설비공사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주로 천장 고소에서 시공되며, 날카로운 모서리, 협소한 공간, 절단·용접 작업 등이 수반돼 다양한 안전사고 위험이 존재합니다.


⚠️ 2. 덕트 주요 위험요소

구분 위험요소 설명
절단·베임 덕트 절단면, 모서리 날카로운 금속 절단면으로 인해 손·팔 베임 위험 존재
협착 끼임 사고 설치 중 덕트와 구조물 사이 협소공간에서 손·팔 끼임 발생 가능
추락 고소작업 천장 시공이 대부분으로 안전대 미착용 시 추락 가능성 높음
낙하 부자재 및 공구 낙하 고소에서 드라이버, 리벳건, 자재 등이 떨어져 아래 근로자 부상 가능
화재 용접·연결작업 화염식 용접, 실란트 시공 등에서 화재 발생 위험
근골격계 질환 반복적 자세, 무거운 자재 무리한 자세 유지, 천장 작업 반복으로 근육·관절 피로 누적
 

🛠️ 3. 덕트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1. 유해·위험요인 파악
    → 절단, 연결, 리프팅, 설치, 고정 등 단계별 위험요인 도출
  2. 위험성 결정
    → 각 위험요소의 발생 가능성(F) 및 결과의 강도(S) 수치화
  3. 위험성 판단
    → 위험도 R = F × S 계산 → 수용 가능 여부 판단
  4. 우선순위 결정
    → 고위험 작업 먼저 개선 방안 수립
  5. 개선대책 수립 및 실행
    → 추락방지 조치, 개인보호구 착용, 작업 방법 개선 등

📊 4. 덕트 위험성평가표 예시

예시1)
작업단계 위험요소 발생 가능성(F) 결과의 강도(S 위험도
( R=F×S)
위험등급 개선대책
고소 시공 추락 위험 4 5 20 높음 안전대 착용, 발판 설치
절단 작업 손 베임 사고 3 3 9 보통 절단면 사전 연마, 장갑 착용
천장 고정 작업 낙하물 사고 3 4 12 높음 공구줄 고정, 낙하방지망 설치
리벳 고정 끼임 및 협착 2 4 8 보통 두 명 이상 협업, 간격 확보
실란트 및 용접 작업 화재 위험 3 5 15 높음 방염포 설치, 화재감시자 배치
반복 설치작업 근골격계 부담 3 3 9 보통 작업자 교대, 스트레칭 권장
 
예시2)

-덕트

자재명 자재 사용 작업명 유해 위험요인 위험등급 안전보건대책 착안
사항
A B C 관리
단계
실행내용
  덕트 작업내용기입 적재방법         적재높이 1.5m이하로 적재  
          평탄한 바닥에 받침목 2개소 이상 설치하여 적재  
  운반방법         자재 운반시 지게차를 사용하여 운반  
          소운반시 2인1조로 운반  
  양중방법         양중작업시 슬링벨트 사용하여 2줄걸이로 양중  
  야적구간         야적구간 라바콘을 사용하여 구획실시  

※위험등급(A,B,C) 와 관리단계(1~4단계)는 현장 여건에 맞게 작성합니다.


🧰 5. 실무 적용 팁

  • 절단 전 표면 정리: 절단면 사포 처리로 베임 사고 예방
  • 이동 시 장갑 착용 필수: 얇은 금속재질로 베임 다수 발생
  • 고소작업 시 2인 1조: 천장 설치 작업 시 낙하·추락 위험 대비
  • 공구는 벨트에 고정: 리벳건, 드라이버 등의 낙하 사고 방지
  • 방염포 및 소화기 비치: 용접 및 화기작업 전후 필수사항
  • 자재 운반은 카트 활용: 무거운 자재는 장시간 들지 않도록

📚 6. 관련 법령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3조 (고소작업)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73조 (절단·연결작업)
  • 고용노동부 「기계설비공사 안전보건지침」
  • 안전보건공단 「공조덕트 시공 안전 가이드」

✅ 7. 마무리

덕트 시공은 천장 고소에서 금속 자재를 다루는 특성상 추락·낙하·베임 사고가 자주 발생합니다.
특히 고소에서의 부주의한 행동은 중대재해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 “공기가 흐르는 덕트, 안전도 흐르게 하자.”
덕트 시공의 안전은 작업자 간 협력, 적절한 장비 사용, 정기적인 위험성평가에서 시작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