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위험성평가_위험성평가표(양식).hwp
0.01MB
위험성평가표.pptx
0.04MB
1. 식재/나무란?
2. 식재/나무 주요 위험요소
3. 식재/나무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4. 식재/나무 위험성평가표 예시
5. 실무 적용 팁
6. 관련 법령 및 자료
7. 마무리
🌱 1. 식재란?
식재(植栽)는 조경공사 중 나무, 관목, 초화류 등을 정해진 위치에 심는 작업으로, 조경공간의 생태적·미적 기능을 구현하는 중요한 공정입니다.
중장비 및 수작업이 혼용되며, 굴착, 운반, 고소작업, 삽질, 비료·농약 취급 등이 동반되어 다양한 위험이 존재합니다.
⚠️ 2. 식재 주요 위험요소
구분 | 위험요소 | 설명 |
낙하 | 나무 낙하 | 크레인 인양 중 고정 불량, 작업자 부주의로 낙하 위험 |
협착 | 굴착기와 인력 간 협착 | 중장비 근처 작업 시 협착 또는 충돌 사고 발생 우려 |
절단·베임 | 가지치기 및 설치 중 날카로운 도구 | 전지가위, 톱 등 날붙이 사용 시 손·팔 베임 가능 |
미끄러짐 | 습지 작업장 | 진흙, 물기로 인한 미끄러짐 사고 위험 |
화학물질 | 농약, 비료 취급 | 살포 시 피부 접촉, 흡입에 의한 건강 장애 가능 |
근골격계 질환 | 반복 작업 및 무리한 하중 | 화분 운반, 땅 파기, 심기 작업 반복으로 인한 피로 누적 |
🛠️ 3. 식재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 유해·위험요인 파악
→ 운반, 굴착, 심기, 고정, 농약 살포 등 각 작업별 위험요소 도출 - 위험성 결정
→ 발생 가능성(F), 결과의 강도(S) 평가 - 위험성 판단
→ 위험도 R = F × S 계산 - 우선순위 결정
→ 고위험 작업 우선 개선 - 개선대책 수립 및 실행
→ 작업계획 수립, 보호구 지급, 농약 사용 시 교육 등 실시
📊 4. 식재 위험성평가표 예시
예시1)
작업단계 | 위험요소 | 발생 가능성(F) | 결과의 강도(S) | 위험도 (R=F×S) |
위험등급 | 개선대책 |
크레인 운반 및 심기 | 나무 낙하 | 3 | 5 | 15 | 높음 | 이중고리 사용, 작업 반경 통제 |
굴착기 근처 작업 | 협착 위험 | 4 | 4 | 16 | 높음 | 신호수 배치, 중장비 근처 작업 금지 |
전지가위 작업 | 베임 사고 | 3 | 3 | 9 | 보통 | 안전장갑 착용, 예리한 도구 사용 금지 |
습한 지면 작업 | 미끄러짐 | 3 | 4 | 12 | 보통 | 미끄럼방지화 착용, 배수 정리 |
농약 살포 | 피부 접촉 및 흡입 | 4 | 5 | 20 | 높음 | 보안경·마스크 착용, 교육 실시 |
무거운 화분 운반 | 근골격계 부담 | 3 | 3 | 9 | 보통 | 인력 분산, 운반기구 사용 권장 |
예시2)
🌱 식재 작업 유해·위험요인 및 실행내용 정리표
구분 | 유해·위험요인 | 실행내용 |
낙상 | 미끄러운 토양, 경사지에서의 미끄러짐 위험 | 미끄럼 방지화 착용, 작업 전 경사면 정리 및 보행로 확보 |
도끼·삽 사용 | 날카로운 도구 사용 시 베임 및 찔림 위험 | 작업 전 도구 상태 점검, 개인보호구(장갑, 안전화) 착용, 도구 휴대 시 날 보호 |
전도 | 수목이나 조경석 운반 중 넘어진 위험 | 인원 2인 이상 협업 운반, 경로 사전 정비, 보조장비 사용 권장 |
협착 | 좁은 공간이나 수목 사이 끼임 위험 | 식재 간격 확보, 손·발 위치 주의, 협착방지 교육 실시 |
운반작업 | 중량물 반복운반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 위험 | 운반 보조기구 사용, 교대작업 및 충분한 휴식 제공 |
해충·벌 | 식재지역 내 벌, 해충 등에 의한 피해 | 작업 전 주변 정찰 및 방제, 긴소매 착용, 알러지약 비치 |
햇빛노출 | 장시간 야외작업으로 인한 열사병, 탈수 | 작업 중 충분한 수분 섭취, 휴게시간 보장, 모자 등 햇빛 차단 장비 착용 |
예시3)
-식재(나무)
순 | 자재명 | 자재 사용 작업명 |
유해 위험요인 | 위험등급 | 안전보건대책 | 착안 사항 |
|||
A | B | C | 관리 단계 |
실행내용 | |||||
식재 (나무) |
작업 내용 기입 |
적재방법 | 식재를 법면에 기대거나 바닥에 눕혀서 보관 | ||||||
운반방법 | 식재 양중도구 체결부위 보양 후 슬링벨트 또는 와이어로프를 사용하여 굴착기로 양중하여 운반 | ||||||||
야적구간 | 야적구간 라바콘을 사용하여 구획실시 |
※위험등급(A,B,C) 와 관리단계(1~4단계)는 현장 여건에 맞게 작성합니다.
🧰 5. 실무 적용 팁
- 이동경로 사전 확보: 굴착기나 운반기구 이동 시 작업 반경 내 사람 배제
- 보호구 착용 필수화: 전지가위, 삽, 농약 등 사용 시 안전장비 철저
- 농약 사용 전 교육: 살포 전 사용량, 희석비율, 응급조치 숙지
- 지형 및 기상 고려: 경사지, 습지, 비 오는 날 작업시 미끄러짐 주의
- 협동 작업은 구호통일: 식재 위치 조정 시 손끼임 방지를 위한 구호 일치
📚 6. 관련 법령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3조 (고소작업)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43조 (화학물질 취급)
- 고용노동부 「조경작업 안전지침」
- 안전보건공단 「조경공사 재해예방 가이드」
✅ 7. 마무리
식재 작업은 단순해 보이지만, 낙하·협착·농약 등의 복합적인 위험요인이 숨어 있습니다.
특히 크레인 인양, 농약 살포, 근골격계 부담 등은 작업자의 안전에 중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사전 점검과 보호구 착용이 필수입니다.
🔒 “작은 나무도, 안전은 크게 다뤄야 한다.”
식재의 완성은 건강한 조경뿐 아니라, 안전하게 돌아가는 현장에서 시작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