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기계기구설비 위험성평가.pptx
0.04MB
위험성평가_위험성평가표(양식).hwp
0.01MB
1. 윈치란?
2. 윈치 주요 위험요소
3. 윈치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4. 윈치 위험성평가표 예시
5. 실무 적용 팁
6. 관련 법령 및 자료
7. 마무리
1. 윈치란?
윈치(Winch)는 와이어로프나 체인을 감아올리는 장치로, 중량물의 인양 및 하강 작업에 사용되는 기계입니다.
전동식 또는 수동식이 있으며,
특히 건설현장에서는 철근, 거푸집, 자재 운반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구조는 비교적 간단하지만, 높은 하중과 회전체를 다루기 때문에 감전, 협착, 전도, 추락 등의 사고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2. 윈치 주요 위험요소
윈치 사용 시 다음과 같은 위험요소가 존재합니다.
구분 | 위험요소 | 설명 |
와이어 파단 | 하중 초과, 마모, 부식 등 | 파단 시 자재 추락, 주변 인명사고 발생 가능성 높음 |
협착 사고 | 회전부, 드럼 인근 접촉 | 조작자 신체 끼임 또는 말림 사고 발생 우려 |
기계 전도 | 불안정한 설치 상태 | 기계 전도 또는 와이어 비틀림 등 2차 사고 유발 |
급발진/급정지 | 조작 미숙 또는 전기 이상 | 자재 요동 및 충격에 의한 사고 발생 가능 |
감김 불량 | 와이어 겹침, 한쪽 쏠림 | 장비 고장 및 불균형 인양으로 자재 낙하 가능성 |
🛠️3. 윈치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건설현장에서 윈치 사용 전 위험성평가는 다음과 같은 5단계로 수행됩니다.
- 위험요소 파악
- 작업공정 및 작업환경, 과거 사고사례 등을 바탕으로 유해·위험요소 목록화
- 위험성 추정
- 각 요소의 발생가능성(L)과 중대성(S)을 점수화
- 위험성 결정
- L × S = R(위험도)를 계산하여 고·중·저 위험도로 구분
- 우선순위 결정 및 개선대책 수립
- 위험도 높은 항목부터 제거·대체·보호조치 마련
- 개선조치 이행 및 재평가
- 조치 결과 확인 후 위험성 재평가 및 작업계획 반영
📊4. 윈치 위험성평가표 예시
예시1)
작업내용 | 위험요소 | 발생가능성 (L) |
중대성 (S) |
위험도 (R=L×S) |
기존대책 | 개선대책 | 비고 |
자재 인양 | 와이어 파단 | 3 | 5 | 15 | 와이어 육안 점검 | 정기 교체 주기 설정, 하중 표기, 이탈방지장치 | 고위험 |
윈치 조작 | 협착 사고 | 2 | 4 | 8 | 없음 | 회전부 커버 설치, 2인 1조 작업 원칙 적용 | 중위험 |
장비 설치 | 기계 전도 | 3 | 4 | 12 | 불안정 설치 | 수평확보, 고정 장치 사용 | 고위험 |
급정지 상황 | 자재 낙하 | 2 | 5 | 10 | 없음 | 완충 장치 및 자동정지 기능 점검 | 고위험 |
와이어 감김 작업 | 감김 불량 | 2 | 3 | 6 | 없음 | 와이어 정리 릴 설치, 교육 실시 | 중위험 |
※ 위험도 수치는 참고용이며, 현장 조건에 따라 조정 필요
예시2)
-윈치 사용시 위험성평가
순 | 기계/기구/ 설비명 |
기계/기구/설비 사용 작업명 |
유해 위험 요인 |
위험등급 | 안전보건대책 | 착안 사항 |
|||
A | B | C | 관리 단계 |
실행내용 | |||||
윈치 | 양중물 후크 이탈 |
후크헤지장치 설치
|
|||||||
양중물 낙하 |
윈치 고정 설치시 견고한 구조물에 설치
|
||||||||
윈치를 고정하거나 양중작업시 전용 양중도구(와이어로프, 슬링벨트) 사용
|
PP로프 사용금지
|
||||||||
양중작업시 하부 라바콘을 구획하여 통제
|
|||||||||
윈치 작업구간 하부 출입통제를 위한 통제원 배치
|
|||||||||
양중물의 요동 |
양중작업 중 물체의 요동 등 흔들림이 예상될 경우 유도로프 설치
|
||||||||
양중물의 수평이동 | 와이어로프에 걸림 |
근로자가 이동할 수 있는 위치에 와이어로프가 설치된 경우 통제를 위해 라바콘을 이용하여 구획실시
|
|||||||
구획할 수 없는 경우에는 와이어로프 인장 전 주변에 전파, 통제 후 와이어로프 감기작업, 윈치 작동 실시
|
통제원배치
|
※위험등급(A,B,C) 와 관리단계(1~4단계)는 현장 여건에 맞게 작성합니다.
🧰5. 실무 적용 팁
- 로프 상태 수시 점검: 마모, 절단, 꼬임 여부를 매일 확인합니다.
- 정격하중 엄수: 윈치에 표시된 허용하중 이상 인양 금지
- 방호장치 설치: 드럼, 회전부 등에 커버 설치로 협착 방지
- 2인 1조 작업 원칙: 한 명은 조작, 다른 한 명은 하중 및 이동 상태 확인
- 작업 전 시험운전 필수: 무하중 상태에서 동작 이상 유무 점검
- 조작자 자격 검증: 교육 수료 여부 및 숙련도 확인
📚6. 관련 법령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제82조(권상기구 등의 설치·사용기준)
- 제83조(와이어로프 및 체인의 사용기준)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 제33조(기계설비 등의 방호조치)
- 고용노동부 위험성평가 가이드북
- 건설기계관리법
✅7. 마무리
윈치는 단순한 장비처럼 보이지만, 고하중을 취급하는 만큼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요소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정기적인 점검, 철저한 교육, 체계적인 위험성평가를 통해 사전에 예방조치를 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특히 중소 규모 현장에서는 윈치 관리가 소홀해지기 쉬우므로, 실무자는 안전수칙을 습관처럼 이행해야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