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업계획서란?
사고위험이 높은 기계나 장비를 사용하는 고위험작업을 할 때,
작업방법과 유해·위험요인을 감소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미리 계획하고
계획한대로 이행하기 위한 것.
기계나 장비의 종류, 제원, 작업내용, 작업장소의 지형이나 지반 상태 등을 미리 조사 후 작성.
- 작업계획서 작성목적
미리 작업방법을 정하고, 작업 과정별 유해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감소하거나 제거 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여
사고위험을 줄이기 위한 것.
- 작업계획서 작성 및 이행
작성자 | 실제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반장(또는 관리감독자) |
검토 | 공정 및 작업(안전) 점검 회의 시 관리감독자, 원·하청 현장소장, 안전관리자 등이 함께 작성된 작업계획서 검토 및 보완 |
작업전 | 아침조회 후, 작업반별 TBM 시 모든 해당 작업자에게 작업계획서의 주요 내용을 공유 * 작업자의 합리적인 의견은 가능한 한 반영하고, 보완·수정할 수 있도록 |
작업중 | 작업계획서에 따라 작업을 하며, 작업반장, 유도자 등은 작업계획서의 준수 및 안전대책의 이행 여부를 수시로 확인 |
작업후 | 작업 종료 후 현장소장은 작업계획서대로 작업이 진행되었는지 점검하고, 미흡한 부분이 발견되는 경우 지속적으로 수정·보완 |
※기계·장비의 종류 및 제원, 작업방법, 운행경로 등 주요 작업내용의 변경이 있는 경우
변경사항을 반영한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이행과정을 반복
- 작업계획서 작성대상
기계분류 | 7대 고위험 기계 |
주요작업계획서 | ||||
중량물취급 | 차량계 하역운반 |
치랭계 건설기계 |
조립 및 해체 | |||
양중기 | 이동식크레인 | ㅇ | ||||
타워크레인 | ㅇ | ㅇ | ||||
차량계 건설기계 |
굴착기 | ㅇ | ㅇ | |||
콘크리트펌프카 | ㅇ | |||||
항타 항발기 | ㅇ | ㅇ | ㅇ | |||
트럭 | 덤프트럭 | ㅇ | ||||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
하물자동차 등 | ㅇ | ||||
고소작업대 | ㅇ |
- 작업계획서 작성내용(중량물취급, 차량계하역운반, 차량계건설기계, 굴착작업, 조립 및 해체)
작업계획서 종류 |
작성내용 | |
중량물취급 |
작업개요 | 작업명, 일시, 업체명, 인원, 내용, 작업지휘자, 신호방법 등 |
중량물 제원 | 중량물 규격, 형상, 중량, 1회 운반 중량, 고정방법 등 | |
기계제원 | 기계명, 등록번호, 모델명, 제조사, 정격하중, 허용하중, 최대적재량 등 | |
법정검사여부 | 건설기계 검사, 비파괴 검사, 자동차 검사, 안전검사 등 | |
줄걸이 방법 | 달기구 종류, 달기구 허용하중, 안전계수 등 | |
재해예방대책 | 추락·낙하·전도·협착·붕괴 위험 예방대책, 작업 구간 출입금지 방안, 주변 구조물 충돌방지 방안 | |
차량계 하역운반 |
작업개요 | 작업명, 일시, 업체명, 인원, 내용, 작업지휘자, 신호방법 등 |
기계제원 | 기계명, 등록번호, 모델명, 제조사, 정격하중, 허용하중, 최대적재량 등 | |
운전원 자격 | 운전원 성명, 보유 면허, 연락처 등 | |
작업계획 | 작업반경, 이동경로 등 도면, 장비, 작업지휘자, 작업자, 관리감독자 배치 위치도 | |
법정 검사 여부 | 건설기계 검사, 비파괴 검사, 자동차 검사, 안전검사 등 | |
재해예방대책 | 추락·낙하·전도·협착·붕괴 위험 예방대책, 작업 구간 출입금지 방안 등 | |
차량계 건설기계 |
작업개요 | 작업명, 일시, 업체명, 인원, 내용, 작업지휘자, 신호방법 등 |
기계제원 | 기계명, 등록번호, 모델명, 제조사, 정격하중, 허용하중, 최대적재량 등 | |
운전원 자격 | 운전원 성명, 보유 면허, 연락처 등 | |
작업계획 | 작업반경, 이동경로 등 도면, 장비, 작업지휘자, 작업자, 관리감독자 배치 위치도 | |
법정검사여부 | 건설기계 검사, 비파괴 검사, 자동차 검사, 안전검사 등 | |
재해예방대책 | 추락·낙하·전도·협착·붕괴 위험 예방대책, 작업 구간 출입금지 방안 등 | |
굴착작업 |
작업개요 | 작업명, 일시, 업체명, 필요 인원, 작업지휘자, 신호방법 등 |
기계제원 | 기계명, 등록번호, 모델명, 제조사, 정격·허용 하중, 최대 적재량, 장비사용계획 등 | |
작업계획 | 굴착방법 및 순서, 토사 절토·성토 및 반출 방법 | |
지반조사 | 매설물 등에 대한 이설·보호대책 | |
재해예방대책 | 작업지휘자 배치계획, 흙막이 지보공, 설치방법 및 계측계획 등 | |
조립, 해체 |
작업개요 | 작업명, 일시, 업체명, 인원, 내용, 작업지휘자, 신호방법, 작업에 필요한 도구·장비, 부속품, 가설설비 등 방호설비 |
기계제원 | 기계명, 등록번호, 모델명, 제조사, 정격하중, 허용하중, 최대적재량 등 | |
작업자정보 | 설치·조립·해체 작업자 성명, 관련 자격, 연락처, 장비보유 여부 등 | |
작업계획 | 설치·조립 및 해체 순서, 작업반경, 이동경로 등 도면, 장비, 작업지휘자, 작업자, 관리감독자 배치 위치도 | |
재해예방대책 | 기계 지지방법(붕괴방지), 지반 보강 방법, 작업자 출입금지 방안, 풍속에 따른 작업중지 기준 등 |
- 작업계획서 작성방법
1. 작업일(작업기간), 작업내용, 작업장소, 작업자 수, 기계및 장비 등 작업개요 확인
2. 건설기계(차량)등록증, 차량검사증, 기계 대여사항 기록부, 수리 및 보수 점검 이력 등 관련문서 확인
-대상 기계의 안전인증 및 검사 등 법정 필수 검사 여부 확인
3. 기계장비의 작업장치, 방호장치의 설치 상태 및 작동 여부 점검
4. 운전원 자격, 먼허사본 확인하여 운전원의 자격여부 확인
5. 관리자 및 작업자의 교육 이수, 면허(자격) 및 인적사항 등 작업인원 확인
6. 작업장소의 지형 및 지반 상태를 확인하고 주변 지장물 간섭 여부 등을 사전 확인
7. 작업방법 및 순서 결정, 운행경로 결정
8. 사용 기계 장비의 작업내용, 작업장소별 재해유형을 미리 확인하고 작업단계별 위험요인 확인 및 대책을 수립
'건설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용산재가입증명원 신청, 일괄적용사업개시신고 방법, 고용산재가입증명서 발급, 고용산재완납증명서 발급 (2) | 2025.04.24 |
---|---|
건설업종 표준하도급계약서 (0) | 2025.04.23 |
TBM이란? TBM확인사항? TBM활동? TBM법령근거? (0) | 2025.04.16 |
건설기술인협회 기술인 등급산정 및 경력인정 방법 / 건설기술입협회 신규가입 및 재가입시 입회비 (0) | 2025.04.14 |
중대재해배상책임공제보험? (0)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