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불도저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chacha13 2025. 5. 23. 10:12
728x90
반응형

 

위험성평가_위험성평가표(양식).hwp
0.01MB
위험성평가표.pptx
0.04MB

 

🚜 불도저란?

불도저(Bulldozer)는 강력한 전면 블레이드(날)를 이용해 흙·모래·자갈 등을 밀어내며 지형을 정리하는 중장비입니다.
주로 건설현장, 토목공사, 채석장 등에서 토사 정리, 평탄화, 장애물 제거 작업에 사용됩니다.

무한궤도(캐터필러)식 또는 타이어식으로 구분되며, 강한 추진력과 안정성이 특징입니다.


⚠️ 불도저 주요 위험요소

구분 위험요소 설명
전도 장비 전도 사고 경사면 주행, 연약 지반 작업 시 불균형으로 인한 전복 위험
협착 블레이드 협착 블레이드 작동 중 주변 작업자 또는 장애물과 끼임 발생 가능
충돌 주변과 충돌 작업 중 보행자, 차량, 구조물 등과 충돌 위험
시야 미확보 전방·후방 시야 부족 운전자의 사각지대로 인한 인식 불가, 후진 중 사고 위험
정비 중 사고 오작동·낙하 장비 점검 중 블레이드 또는 본체 하강, 시동으로 인한 사고

🧪 불도저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① 작업 분석

  • 작업 구역, 지형 경사도, 지반 상태, 장비 유형 확인

② 유해·위험요소 파악

  • 블레이드 조작, 방향 전환, 장비 접근 시 위험요소 도출

 위험성 평가 (L×S)

  • 사고 발생 가능성(L) × 결과 중대성(S)으로 평가

 개선대책 수립

  • 장비 주행 경로 확보, 작업계획서 수립, 유도자 배치 등

  조치 이행 및 재평가

  • 교육 실시, 조치 완료 여부 확인 후 평가 결과 갱신

📋 불도저 위험성평가표 예시

예시1)

항목 내용
공종 토공작업, 지형 정리
작업장비 불도저 (무한궤도식)
위험요소 전도, 협착, 충돌, 시야 미확보
위험성등급 전도: 고위험 / 협착: 중위험 / 충돌: 중위험
개선대책 경사면 주행 전 작업경로 사전 점검
블레이드 작업 시 주변 접근 금지
유도자 배치 및 작업 신호체계 확립
백미러, 경고등, 후방카메라 점검
정비 전 시동차단 및 블레이드 고정조치
실행자 현장소장, 장비운영업체
비고 비작업자는 접근금지구역 내 출입금지 표지 부착 필수

예시2)

장비명 장비 사용 작업명 유해 위험요인 위험등급 안전보건대책 착안
사항
A B C 관리
단계
실행내용
  도져




작업내용기입




안전표지         장비 실명제카드 부착  
  운전자격         건설기계 면허증 확인  
  안전장치
        후방감시카메라설치 상태 확인  
          후진경보기 및 후진경고등 작동상태 확인  
  장비작업         장비작업구간 신호수 배치  
  장비이동            
  장비차체            
  장비회전            
  장비대기(정비)         작업종료시 삽날 지면에 위치  

※위험등급(A,B,C) 와 관리단계(1~4단계)는 현장 여건에 맞게 작성합니다.


🧰 실무 적용 팁

  • 경사 작업 금지: 15도 이상 경사면 주행은 금지하거나 보조장비 병행 사용
  • 사각지대 유의: 작업 전 주변 인원 통제 및 후진 시 경고음 확인
  • 하차 전 블레이드 하강: 정지 후 블레이드를 완전히 지면에 내려 위험 방지
  • 정비 시 안전조치 필수: 블레이드 지지대 설치, 시동 키 분리
  • 숙련자 조작 필수: 자격자 또는 숙련자 외 조작 금지

📚 불도저 관련 법령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 (위험성평가 의무)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26조 (굴착·토공장비)
  • 건설기계관리법 시행규칙 (건설기계 정비 및 운용 기준) |
  • KOSHA GUIDE A-38: 건설장비별 안전작업지침
  • 고용노동부 중대사고 사례 리포트 (불도저 전도사고 등)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제공 위험성평가 매뉴얼

🧾 마무리

불도저는 강력한 작업 성능만큼이나 중대사고의 잠재 위험이 높은 장비입니다.
사고는 대부분 주행 중 시야 확보 부족, 협소한 공간 작업, 경사면 과도 주행, 사전점검 미비에서 발생합니다.

위험성평가는 단순한 형식이 아니라 작업자의 생명을 지키는 실질적인 안전수칙입니다.
예방은 평가에서 시작되며, 실천으로 완성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