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철근콘크리트 검측요청서/ 철근콘크리트 검측체크리스트 / 먹매김 검측요청서 / 먹매김 체크리스트 / 철근 검측요청서 / 철근 체크리스트 / 거푸집 검측요청서 / 거푸집 체크리스트

chacha13 2025. 5. 26. 16:55
728x90
반응형

건설현장에서 철근콘크리트 공사는 구조물의 뼈대를 형성하는 핵심 공정입니다. 구조물의 안전성과 직결되기 때문에 각 단계별 품질 확인이 매우 중요하며, 이 중 검측요청 절차는 반드시 거쳐야 할 필수 과정입니다.

이 글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공사의 검측요청 절차와 체크리스트 작성법을 정리해드립니다.


🔧철근콘크리트란?

철근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RC)는 철근과 콘크리트를 결합하여 강도와 인성을 동시에 확보한 구조재료입니다. 철근은 인장력에 강하고,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강하기 때문에 이 둘을 함께 사용하면 구조적으로 매우 우수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주요 구성:

  • 철근 가공 및 배근
  • 거푸집 설치
  • 콘크리트 타설

📋 검측요청이란?

검측요청은 시공자가 감리자 또는 발주처에 시공 상태를 확인받기 위해 제출하는 공식 절차입니다. 특히 철근콘크리트 공정에서는 각 단계별로 검측을 거쳐야 하며, 누락 시 품질 사고 및 공정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철근콘크리트 검측 절차

철근콘크리트 공정은 다음과 같은 주요 단계별로 검측이 이뤄집니다:

① 철근 가공 및 배근 완료
② 자가점검 실시 (도면, 간격, 피복두께 등)
③ 검측요청서 제출 (감리자에게)
④ 현장 검측 및 감리자 확인
⑤ 시정 지시 또는 승인
⑥ 타설 허가 및 콘크리트 타설

📌 Tip: 검측 전 철근배근 사진, 자재 시험성적서, 도면 사본을 준비하세요.


⚠️검측요청서 작성 시 주의사항

  • 공종 및 세부공종 정확히 기재 (예: 철근배근, 콘크리트 타설 등)
  • 설계도서 번호 및 일자 표기
  • 시공 위치 및 부위 명확히 기재
  • 시공 전/후 사진 첨부
  • 사용 자재의 납품서, 시험성적서 첨부
  • 감리 입회 여부 및 시정사항 기재

예시1)

항목 내용
공종 철근콘크리트공사
새부공종 기초 슬래브 철근배근 
기초 콘크리트타설 등
위치 B1층 기초 하부
시공일 2025.06.01
도면번호 RC-S01
요청일자 2025.06.02
요청자 OO건설 공사팀장

예시2)

검측요청서 양식.xls
0.05MB


✅  철근콘크리트 주요 체크 항목

철근콘크리트 공정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검측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점검내용 기준 또는 확인사항
철근재료 강종, 규격, 시험성적서 확보 여부 KS D 3504, 품질시험서 제출
철근 배근간격 이음길이, 간격, 띠철근 간격 확인 도면 일치 여부, 설계값 ±10mm 이내
피복두께 보, 슬래브, 기둥 등의 피복두께 확보 여부 보 40mm, 슬래브 30mm 이상 (설계 기준)
철근정착길이 단부 정착 상태, 후크 및 구부림 각도 설계도 및 시방서 기준
매트철근 고정 철근의 흔들림 여부, 지지 바 설치 여부 스페이서 적정 간격 설치
거푸집 상태 청결 여부, 틈새 유무, 탈형 편의성 고려 누수 방지, 보강재 설치 상태 확인
콘크리트 배합 배합설계서, 레미콘 출하 전 확인 슬럼프, 강도, 공기량 등 배합 확인
레벨 측정 콘크리트 타설 전 기준점 확인 ±5mm ~ ±10mm (설계 기준에 따름)
거푸집 고정 변형, 틀어짐, 부착상태 점검 수직도 및 수평도 확보
앵커 설치 매입 위치 및 수직도 점검 도면과 위치 일치 여부 확인

이 외에도 현장에 따라 항목이 추가되며, 공정의 특수성에 따라 맞춤형 체크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 체크리스트 작성방법 및 예시

검측 체크리스트는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구성합니다:

1.공종  : 검측 대상이 되는 작업분야를 기입

2. 세부공종 : 공종 내에서 더 구체적인 작업 분야를 기재

3. 검측일자 : 검측이 진행되는 날짜를 기재(감리측과 날짜 협의)

4. 위치 및 부위 : 검측할 정확한 위치와 특정부분을 기재(첨부: 도면에 표시)

5. 검사항목 : 검측 대상이 되는 구체적인 항목들을 기재

6. 검사기준 : 국가표준, 규정, 제조사의 권장사항 등을 참고하여 검측 항목에 대한 기준 또는 규정을 기재

7. 검사결과 : 적합/ 부적합 또는 O,X 등으로 기재

8. 조치사항 : 검측 결과 부적합한 항목의 경우 취해야 할 조치 및 수정 사항등을 주체적으로 기재

 

예시1)

점검항목 상태 비고
철근 간격 확인 ☐ 적합 ☐ 부적합 설계도면
피복두께 확보 여부 ☐ 적합 ☐ 부적합 시방서 기준
스페이서 설치 확인 ☐ 적합 ☐ 부적합 300mm간격
철근 이음길이 확인  ☐ 적합 ☐ 부적합 30d 이상 확보
청결 상태 및 이물질 제거 ☐ 적합 ☐ 부적합 콘크리트 접착 방해요소 제거
앵커 위치 확인 ☐ 적합 ☐ 부적합 설계도면

 

예시2)

체크리스트 양식.xls
0.34MB

  • 공종 : 철근콘크리트 / 세부공종 : 기초 버림콘크리트 타설전
공종 철근콘크리트
세부공종 기초 버림콘트리트 타설 전
검사항목 검사기준 검사결과 조치사항
시공자 감리자
적합 부적합 적합 부적합
1 벤치마크는 유동 없는 곳에 견고히 설치 하였는가? 도면          
2 구조물 위치(좌표)는 확인 하였는가? 도면          
3 기초 하부 레벨값은 확인 하였는가? 도면          
4 흙의 정지 마감면 상태는 양호하며 부분적 결손부위는 없는가? 시방서          
5 버림콘크리트 마감선 표시는 적정한가? 시방서          
6 평판재하시험 결과는 확인 하였는가? 도면
보고서
         

 

  • 공종 : 철근콘크리트 / 세부공종 : 먹매김
공종 철근콘크리트
세부공종 먹매김
검사항목 검사기준 검사결과 조치사항
시공자 감리자
적합 부적합 적합 부적합
1 건물의 위치 및 레벨 확인 도면          
2 기준먹선, 기초 및 벽체 중심먹선 확인 도면          
3 기초 및 벽체의 외곽선, 규격 확인 도면          
4 옹벽두께, 길이선, 모서리의 직각여부 확인            
5 기둥 및 벽체의 규격 확인 도면          
  • 공종 : 철근콘크리트 / 세부공종 : 기초콘크리트타설 전
공종 철근콘크리트
세부공종 기초콘크리트타설 전
검사항목 검사기준 검사결과 조치사항
시공자 감리자
적합 부적합 적합 부적합
1 기초 철근의 규격, 배근간격 및 철근 결속 상태 적정여부 확인 시방서          
2 기초 철근 피복두께 유지상태 확인 시방서          
3 옹벽, 기둥 수직철근 삽입근의 이음길이의 확인 도면          
4 기초 거푸집 상단 귀잡이 및 버팀대 설치여부 등 거푸집 고정상태 확인 시방서          
5 바닥과 거푸집 사이 틈 밀봉상태 확인 시방서          
6 철근의 이음 및 정착길이가 적당한지 확인 도면          
7 콘크리트 규격 확인 도면          
8 끊어치기 부위에 대한 적합여부 확인 및 기초 저면 지수판 설치 상태 확인 시방서          
9 집수정 및 트랜치 시공 확인 시방서          
10 기초 상단 레벨 확인 도면          
11 보강철근 설계도서에 의거하여 배근 되었는지 확인 도면          
  • 공종 : 철근콘크리트 / 세부공종 : 벽체 철근배근 완료 후
공종 철근콘크리트
세부공종 벽체 철근배근 완료 후
검사항목 검사기준 검사결과 조치사항
시공자 감리자
적합 부적합 적합 부적합
1 철근배근 규격, 간격은 도면과 일치하는지 확인 도면          
2 철근의 피복유지를 위한 스페이스 등 고정상태 확인 옹벽 1.5*1.5
기둥3개소이상
         
3 개구부 주변 보강근 배근상태 적정여부 확인 2-HD상하          
4 철근 결속상태 확인 철근간격
300mm미만
50%결속
         
5 철근의 정착 및 이음길이 적정여부 확인 도면          
6 철근의 기름, 녹, 이물질 등이 제거되었는지 확인            
7 설비, 전기 등 매설부품 설치 후 적합한 철근 보강이 이루어 졌는지 확인 도면          
8 관통, 개구부 등에 의한 단면결손 발생부위의 구조확인 선행되었는지 확인            

 

  • 공종 : 철근콘크리트 / 세부공종 : 바닥콘크리트타설 전-1 (검사항목 : 철근)
공종 철근콘크리트
세부공종 바닥콘크리트 타설전
검사항목(철근) 검사기준 검사결과 조치사항
시공자 감리자
적합 부적합 적합 부적합
1 철근 배근 규격, 간격은 도면과 일치하는지 확인 도면          
2 슬래브 철근 BENT 위치는 적당한지 확인 L/4 지점          
3 철근의 피복유지를 위한 고정상태 확인            
4 수직삽입근의 간격, 피복유지를 위한 고정상태 및 이음길이가 충분하지 확인 도면          
5 슬래브 보강근의 규격, 정착길이, 순간격 등 확인 굵은골재1.25배 
25mm이상 공칭지름의 1.5배
         
6 슬래브의 단부정착은 정확하게 시공하였는지 확인 시방서          
7 철근 결속상태는 적정한지 확인 철근간격 300mm미만
50%결속
         
8 캐노피, 보의 스트럽 설치상태가 양호한지 확인 시방서          
9 보 주근의 순간격 확인 굵은골재 1.25배          
10 철근의 기름, 녹, 이물질 등이 제거되었는지 확인            
11 슬래브 하부철근 밑으로 설치된 설비배관은 없는지 확인 시방서          
12 끊어치기 부위에 대한 적합여부 확인 및 지수판 설치상태 확인
(구조물 올리기 전 바닥 타설시에만 해당)
시방서          
13 발코니, 난간벽의 경우 단부 수평 보강근은 도면대로 시공되었는지 확인 시방서          

 

  • 공종 : 철근콘크리트 / 세부공종 : 바닥콘크리트타설 전-1 (검사항목 : 거푸집,동바리)
공종 철근콘크리트
세부공종 바닥콘크리트 타설전
검사항목(거푸집, 동바리) 검사기준 검사결과 조치사항
시공자 감리자
적합 부적합 적합 부적합
1 슬래브 거푸집 중 FILLER판 설치위치가 적당한지 확인 W=600초과          
2 개구부 형틀은 배부름 등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보강하였는지 확인(개구부 부위 상/하 수평재 연속시공)       수평@600(4단)
      수직@1200
         
3 개구부 형틀은 마감을 위한 여유가 있는지 확인 여유폭은 15mm이내          
4 바닥에서 슬래브 형틀까지 높이가 현저히 부족한 부분은 없는지 확인            
5 폼타이 체결이 느슨한 부분은 없는지 확인 시방서          
6 벽 및 슬래브 거푸집은 조립도에 따라 설치하였는지 확인 조립도          
7 거푸집 표면청소 및 박리제 도포여부 확인 시방서          
8 바닥 슬래브의 수평도 확인 3M당 6mm이내          
9 동바리 설치간격 및 체결상태 확인 시방서          
10 슬래브 합판이 옹벽 단면을 결손시키는 부분이 없는지 확인 시방서          
11 외부 벽체(코너)거푸집의 수직도 확인 층당 6mm          
12 방수턱 거푸집의 위치, 간격, 직선도, 높이 등 확인 도면          
  • 공종 : 철근콘크리트 / 세부공종 : 바닥콘크리트타설 전-1 (검사항목 : 기타)
공종 철근콘크리트
세부공종 바닥콘크리트 타설전
검사항목(기타) 검사기준 검사결과 조치사항
시공자 감리자
적합 부적합 적합 부적합
1 콘크리트 타설전 construction joint 청소 상태 확인  수평@600(4단)
수직@1200
         
2 슬래브 단부 결로방지용 단열재의 설치상태 확인 도면          
3 PIT층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조치 확인 안전관리계획서          
4 매립되는 슬리브에 맞닿는 철근이 없는지 확인 시방서          
5 콘크리트 타설 전 하부층의 동바리 존치여부 확인 압축강도          

📌  실무 팁: 검측 불승인 방지하려면?

  • 철근배근 전후 사진을 반드시 촬영 (타설 전 요구됨)
  • 감리자 입회 전 자가점검으로 미비사항 선조치
  • 스페이서 누락, 철근 간섭은 흔한 불승인 사유
  • 타설 전 레미콘 배합서류 사전 확보

🎯  마무리

철근콘크리트 공정의 검측요청은 구조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 절차입니다. 각 단계마다 정확한 검측이 이뤄져야 공사 품질과 안전이 확보됩니다. 실무자는 시방서와 도면을 꼼꼼히 확인하고, 감리 요청 전 체크리스트를 통해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작은 실수 하나가 큰 공정 지연이나 재시공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검측요청은 “선제적 품질관리”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