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갱폼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알폼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 갱폼 주요 유해요인 정리 / 알폼 주요 유해요인 정리

chacha13 2025. 6. 1. 14:47
728x90
반응형

위험성평가_위험성평가표(양식).hwp
0.01MB
위험성평가표.pptx
0.04MB
1. 알폼/갱폼이란?
2. 알폼/갱폼 주요 위험요소
3. 알폼/갱폼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4. 알폼/갱폼 위험성평가표 예시
5. 실무 적용 팁
6. 관련 법령 및 자료
7. 마무리

 


🧱1.  알폼/갱폼 이란?

  • 갱폼:
    크레인을 이용해 대형 패널 전체를 이동시키는 방식. 대규모 현장에서 빠르고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함. 구조가 견고하고 반복 사용에 적합하지만, 설치·해체 시 중장비 필요.
  • 알폼:
    소형 패널을 사람이 직접 조립하는 방식. 경량, 간편한 운반, 인력 중심의 시공이 가능함. 소규모 및 중규모 현장에 적합하고 콘크리트 면 마감이 우수함.

🆚 갱폼 vs 알폼 차이점 비교표

구분 갱폼 (Gang Form) 알폼 (Aluminum Form)
재질 철재(스틸), 합성 재료 알루미늄
무게 무거움 (중장비 필요) 가벼움 (인력으로 운반 가능)
시공 방식 대형 패널을 조립하여 크레인으로 일체 이동 소형 패널을 현장에서 조립
적용 부위 주로 외벽, 슬라브 등 대면적 구조물에 사용 기둥, 벽체, 슬라브 등 중소형 구조물에 사용
반복 사용성 반복 사용 가능, 고강도 구조로 내구성 우수 반복 사용 가능하나 구조물 손상 시 교체 필요
작업 효율성 크레인 사용으로 대형 공정 가능, 속도 빠름 경량이라 인력 조립 가능, 간편한 공정
경제성 초기비용 크지만 대형 현장에서는 효율적 초기비용 다소 높지만 소형 건축에 유리
현장 규모 대규모 아파트, 빌딩 시공에 적합 소규모, 중규모 주택 및 상가에 적합
사용 현장 -아파트, 복합상가, 대형빌딩
-속도와 정밀도우선현장
-단독주택, 저층상가
-인건비 절감이 중요할 때
시공 정밀도 정확도 높음 (공장에서 제작) 정확도 좋음, 그러나 조립 숙련도에 따라 차이 존재

 


⚠️2.  알폼 주요 위험요소

구분 위험요소 설명
추락 고소작업 중 추락 슬라브 작업 시 미끄럼, 안전대 미착용 등으로 추락 가능성 존재
낙하 자재 낙하 설치 중 또는 고소 부재 낙하로 인한 인명 사고 우려
협착 손 끼임 조립·해체 중 알폼 부재 사이에 손 끼임
붕괴 고정 불량 조인트 미체결, 서포트 불량 시 구조물 전체 붕괴 가능
근골격계 질환 무리한 작업 자세 반복 작업 및 과도한 하중으로 인한 허리·어깨 통증 유발
 

📋 3. 알폼/갱폼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1. 위험요인 파악
    설치, 조립, 해체, 사용 중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 파악
  2. 위험성 추정
    각 위험요소에 대한 발생 가능성과 결과의 심각도 분석
  3. 위험성 결정
    위험도 계산(R = F × S) 후 등급 분류
  4. 대책 수립
    중·고위험 요소에 대해 개선 대책 마련
  5. 대책 실행 및 점검
    현장에 반영하고, 주기적 재점검 및 피드백 반영

🧾4.  알폼 /갱폼 위험성평가표 예시


예시1)

작업단계 위험요소 발생 가능성(F) 결과의 강도(S) 위험도
(R=F×S)
위험등급 개선대책
설치작업 자재 낙하 3 4 12 고위험 낙하 방지망 설치, 고소작업 시 경고구역 설정
조립작업 손 협착 2 3 6 중위험 작업용 장갑 착용, 끼임 주의 교육
해체작업 고소 추락 4 4 16 고위험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2인 1조 작업
사용 중 구조물 붕괴 3 4 12 고위험 연결부 확인, 정기점검 수행
반복작업 근골격계 피로 2 2 4 중위험 스트레칭 실시, 작업 간 휴식시간 배치

예시2)

갱폼/알폼

자재명 자재 사용 작업명 유해 위험요인 위험등급 안전보건대책 착안
사항
A B C 관리
단계
실행내용
  갱폼
알폼


작업내용기입


운반방법         갱폼/알폼 양중작업시 와이어로프 사용 두줄걸이 인양  
  적재방법         갱폼/알폼 적재구간 라바콘 구획 실시  
  내부발판         내부 발판 안전난간대 설치  
  승강통로         수직사다리 및 해치발판 설치  
  앵커볼트         앵커볼트 다른 색상으로 표시  
  낙하물         볼트 부속물 등 보관을 위한 박스 사용  
          외부측 수직보호망 상하 고정하여 설치  

※위험등급(A,B,C) 와 관리단계(1~4단계)는 현장 여건에 맞게 작성합니다.


🛠️5.  실무 적용 팁

  • 알폼/갱폼의 설치 전 확인사항: 체결 상태, 휨·변형 여부 반드시 점검
  • 적재 및 보관 방법: 평탄한 장소에 적재, 전도 방지를 위한 고정 필수
  • 해체 작업 시 주의: 상부 구조물 먼저 해체하며 하부 하중 분산 유의
  • 교육 이수: 신입 근로자에게 알폼 조립·해체법 사전 교육 필요
  • 공구 사용법 숙지: 육각렌치 등 조립 공구의 정확한 사용법 숙지 필수

📚6. 관련 법령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44조(거푸집 해체작업 시 안전조치)
  •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 안전보건공단 제공 거푸집 작업 안전 매뉴얼

✅7.  마무리

알폼/갱폼은 효율적인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자재지만, 고소작업과 해체작업의 위험이 큰 장비입니다.
철저한 사전 점검과 보호구 착용, 작업자 교육만이 현장의 안전과 품질을 보장하는 열쇠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