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위험성평가_위험성평가표(양식).hwp
0.01MB
위험성평가표.pptx
0.04MB
1. 단열재란?
2. 단열재 주요 위험요소
3. 단열재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4. 단열재 위험성평가표 예시
5. 실무 적용 팁
6. 관련 법령 및 자료
7. 마무리
🧱 1. 단열재란?
단열재(Insulation Material)는 열의 흐름을 차단하여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자재입니다. 외벽, 내벽, 천장, 바닥 등에 설치되며, 대표적으로 글라스울, 미네랄울, 우레탄폼, 압출법 보온판(XPS), 비드법 보온판(EPS) 등이 사용됩니다.
단열재는 경량이지만 다루는 방식에 따라 분진 발생, 화재 위험, 고소작업 등의 위험이 수반됩니다.
⚠️ 2. 단열재 주요 위험요소
구분 | 위험요소 | 설명 |
분진흡입 | 유리섬유, 발포재 분진 | 글라스울, 미네랄울 등은 분진이 눈, 피부, 호흡기에 자극 유발 |
화재·폭발 | 발포단열재 인화성 | 우레탄폼, XPS, EPS 등은 가연성으로 절단·접착 시 화재 위험 |
고소작업 | 추락 위험 | 천장·외벽 단열재 설치는 고소에서 작업하므로 추락 사고 우려 |
협착·베임 | 시공 중 손 끼임, 베임 | 보양재 자르기, 고정 중 칼날·공구에 의한 부상 가능 |
근골격계 질환 | 반복 작업으로 인한 피로 누적 | 같은 자세 유지, 반복적인 절단·부착으로 근육·관절 피로 유발 |
🛠️ 3. 단열재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 유해·위험요인 파악
→ 단열재 반입, 절단, 부착, 고소 설치 등 단계별 위험요소 확인 - 위험성 결정
→ 발생 가능성(F), 결과의 강도(S)을 수치화하여 평가 - 위험성 판단
→ 위험도(R = F×S) 계산 후 수용 가능 여부 판단 - 우선순위 결정
→ 고위험 항목부터 개선계획 우선 적용 - 개선대책 수립 및 실행
→ 분진 마스크 착용, 화재 대비 소화기 비치, 추락 방지 조치 등 실행
📊 4. 단열재 위험성평가표 예시
예시1)
작업단계 | 위험요소 | 발생가능성(F) | 결과의 강도(S) | 위험도 (R=FxS) |
위험등급 | 개선대책 |
천장 단열재 설치 | 고소 추락 위험 | 4 | 5 | 20 | 높음 | 안전대 착용, 발판 설치 |
글라스울 절단 | 분진 흡입 | 3 | 4 | 12 | 보통 | 방진마스크, 국소배기 설치 |
우레탄폼 접착 | 화재 위험 | 3 | 5 | 15 | 높음 | 방염포 설치, 소화기 비치 |
단열재 절단 작업 | 절단 도구로 인한 베임 | 2 | 3 | 6 | 낮음 | 보호장갑 착용, 칼날 점검 |
벽체 시공 반복작업 | 근골격계 질환 | 3 | 3 | 9 | 보통 | 휴식시간 부여, 교대작업 실시 |
예시2)
단열재, 스티로폼
순 | 자재명 | 자재 사용 작업명 | 유해 위험요인 | 위험등급 | 안전보건대책 | 착안 사항 |
|||
A | B | C | 관리 단계 |
실행내용 | |||||
단열재, 스티로폼 |
작업내용기입 | 안전표지 | 화기주의 표지판 설치 | ||||||
적재방법 | 적재높이 1.5m이하로 적재 | ||||||||
평탄한 바닥에 받침목 2개소 이상 설치하여 적재 | |||||||||
운반방법 | 자재 운반시 지게차를 사용하여 운반 | ||||||||
양중방법 | 양중작업시 슬링벨트 사용하여 2줄걸이로 양중 | ||||||||
야적구간 | 야적구간 라바콘을 사용하여 구획실시 |
※위험등급(A,B,C) 와 관리단계(1~4단계)는 현장 여건에 맞게 작성합니다.
🧰 5. 실무 적용 팁
- 방진 대책 철저: 글라스울·미네랄울은 반드시 방진마스크, 긴소매 작업복, 안경 착용
- 고소 작업 시 이탈 방지: 단열재는 가볍지만 부피가 커 고소작업 시 작업자 중심 이동 주의
- 발화 위험 단열재 주의: 우레탄폼, EPS 등은 난연등급 확인 필수, 가열기구 근처 사용 금지
- 절단 시 안전칼 사용: 전용 절단도구 사용, 칼날 교체 주기적으로 실시
- 반복작업 교대: 천장 시공 등 고정 자세 유지 작업은 1~2시간 간격 교대로 근골격계 질환 예방
📚 6. 관련 법령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3조 (고소작업)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86조 (분진작업)
- 고용노동부 「건축 마감공정 안전보건 가이드북」
- 안전보건공단 「단열재 시공 안전 매뉴얼」
✅ 7. 마무리
단열재 작업은 가벼워 보여도 분진·화재·고소작업이 복합된 잠재 위험 요소가 많습니다.
특히 발포재 계열 단열재의 인화성, 유리섬유 계열의 분진 유해성은 사전 교육과 보호구 착용이 필수입니다.
🔒 “가볍다고 방심 말자, 단열재도 고위험 작업이다.”
현장 안전관리자와 작업자 모두 철저한 위험성평가 후 시공에 임해야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