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위험성평가_위험성평가표(양식).hwp
0.01MB
위험성평가표.pptx
0.04MB
1. 타일이란?
2. 타일 주요 위험요소
3. 타일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4. 타일 위험성평가표 예시
5. 실무 적용 팁
6. 관련 법령 및 자료
7. 마무리
🧩 1. 타일이란?
타일(Tile)은 점토, 석회석, 대리석, 도기, 세라믹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된 얇고 평평한 마감재입니다.
주로 건물의 벽면, 바닥, 욕실, 외장 등에 사용되며, 내구성, 방수성, 미관 등을 동시에 만족시켜 널리 사용됩니다.
작업은 일반적으로 바탕면 정리 → 접착제 도포 → 타일 붙임 → 줄눈 작업 순으로 이루어집니다.
⚠️2. 타일 주요 위험요소
구분 | 위험요소 | 설명 |
미끄러짐 | 습윤 상태에서의 전도 | 바닥 또는 작업공간에 물기나 접착제가 남아 미끄러져 넘어질 위험 |
절단·베임 | 타일 절단 중 날 부상 | 수동 또는 전동 절단기로 자를 때 손가락, 손바닥 베임 우려 |
낙하 | 고소 타일 작업 중 낙하 | 외벽, 천장 타일 부착 중 자재 또는 장비 낙하 가능성 |
근골격계 질환 | 무릎 꿇음·반복 자세 | 바닥 타일 작업 시 장시간 무릎 꿇기, 허리 숙임으로 인한 근육·관절 손상 |
화학물질 노출 | 접착제, 실란트 증기 | 타일용 본드, 실란트 등 화학물질 사용 시 증기 흡입에 따른 유해 노출 가능성 |
📋 3. 타일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 유해·위험요인 파악
→ 타일 운반, 절단, 부착, 줄눈 작업 등 공정별 위험요소 파악 - 위험성 결정
→ 각 위험요소의 발생 가능성(F)과 결과의 강도(S)를 수치화 - 위험성 판단
→ R = F × S 계산을 통해 위험 수준 분류 - 우선순위 결정
→ 높은 위험도를 우선으로 개선계획 수립 - 개선대책 수립 및 실행
→ 미끄럼 방지, 보호구 착용, 환기 조치 등 실행
🧾4. 타일 위험성평가표 예시
예시1)
작업단계 | 위험요소 | 발생 가능성(F) | 결과의 강도(S) | 위험도 (R=F×S) |
위험등급 | 개선대책 |
바닥 타일 부착 | 미끄럼 및 전도 사고 | 3 | 4 | 12 | 보통 | 방수포 설치, 방한화 착용 |
타일 절단 작업 | 손 베임, 파편 비산 | 3 | 4 | 12 | 보통 | 장갑, 보안경 착용 |
고소 부착 작업 | 자재 낙하, 추락 위험 | 2 | 5 | 10 | 보통 | 안전대 착용, 낙하 방지대 설치 |
줄눈 시공 작업 | 화학물질 흡입 | 2 | 4 | 8 | 보통 | 국소배기장치, 유기화학용 방진마스크 착용 |
반복 무릎 자세 | 근골격계 부담 | 3 | 3 | 9 | 보통 | 무릎보호대 사용, 휴식시간 부여 |
예시2)
타일
순 | 자재명 | 자재 사용 작업명 | 유해 위험요인 | 위험등급 | 안전보건대책 | 착안 사항 |
|||
A | B | C | 관리 단계 |
실행내용 | |||||
타일 | 작업내용기입 |
적재방법 | 적재높이 1m 이하로 적재 | ||||||
운반방법 | 팔렛트 자재 운반시 지게차를 사용하여 운반 | ||||||||
소운반시 이동식 대차를 사용하여 운반 | 전용리어카 사용 | ||||||||
양중방법 | 팔렛트 양중시 낙하되지 않도록 랩 보양 | ||||||||
팔렛트 양중시 슬링벨트를 사용하여 2줄걸이 양중 | |||||||||
야적구간 | 야적구간 라바콘을 사용하여 구획실시 |
※위험등급(A,B,C) 와 관리단계(1~4단계)는 현장 여건에 맞게 작성합니다.
🛠️5. 실무 적용 팁
- 절단 시 안전수칙 준수: 절단기 사용 전 점검 및 보안경, 장갑 착용 필수
- 접착제 취급 주의: 환기 불량 공간에서 접착제 사용 시 유해가스 흡입 주의
- 무릎보호구 필수 착용: 바닥 타일 작업은 무릎관절 보호구로 부상 예방
- 타일 낙하 방지 조치: 외벽 작업 시 낙하 방지틀 또는 자재망 설치
- 작업 공간 청결 유지: 미끄럼 방지를 위해 즉시 물기 제거
📚6. 관련 법령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3조 (고소작업)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8조 (물건의 취급)
-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화학물질 취급 기준)
- 고용노동부 「타일작업 안전보건 매뉴얼」
- 안전보건공단 「근골격계질환 예방 작업지침」
✅7. 마무리
타일 작업은 정밀성과 미적 요소가 요구되는 만큼, 현장의 안전 확보가 작업 품질과 직결됩니다.
특히 미끄러짐, 절단, 화학물질 노출 등은 자주 발생하는 사고 유형으로, 반복작업 전 반드시 사전 점검과 보호구 착용이 필요합니다.
🛡️ “반복작업일수록, 안전의 반복이 기본이다”
타일 시공의 완성도는 기술과 더불어 안전의식에서 출발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