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위험물질 위험성평가표 유해요인

알곤(Argon, Ar)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유해위험물질)

chacha13 2025. 7. 10. 11:50
728x90
반응형

 

1. 알곤(Argon, Ar)란?
2. 알곤(Argon, Ar) 주요 위험요소
3. 알곤(Argon, Ar)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4. 알곤(Argon, Ar) 위험성평가표 예시
5. 실무 적용 팁
6. 관련 법령 및 자료
7. 마무리

반응형

🧾 1. 알곤(Argon, Ar)란?

알곤(Argon)은 공기 중 약 0.93%를 차지하는 무색·무취의 불활성 고압가스입니다.
화학적 반응성이 거의 없어 아크용접(특히 TIG 용접)이나 가스 차폐공정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반응성이 없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밀폐공간에서는 산소를 치환해 질식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유해물질입니다.


⚠️ 2.알곤(Argon, Ar) 주요 위험요소

  1. 질식 위험
    • 산소보다 무거워 저지대에 머무르며, 공기 중 산소를 대체하여 무증상 질식 유발
    • 무취·무색이라 감지 어려움
  2. 고압가스 용기 파손
    • 충격, 낙하, 고온에 노출 시 용기 파열 및 폭발 가능
  3. 저온화상
    • 액화 알곤이 피부에 닿을 경우 저온화상 및 동상 유발
  4. 부적절한 환기
    • 밀폐공간, 맨홀, 저장탱크 등에서 사용 시 산소농도 저하로 질식 위험 급증

🛠️ 3. 알곤(Argon, Ar)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1. 작업 목록 파악: 알곤 용접, 탱크 내부 차폐가스 충전 등
  2. 위험요소 도출: 질식, 용기파열, 저온화상 등
  3. 위험성 추정 (빈도 × 강도)
  4. 위험성 결정 (허용가능 여부)
  5. 대책 수립 및 재평가

📋 4. 위험성평가표 예시


예시1)

공종/공정 유해위험요인 발생원인 기존대책 발생가능성
(L)
중대성
(S)
위험도
(R=L×S)
개선대책
알곤가스 사용 산소치환/ 질식사고 환기 불량, 가스 누출 환기팬 설치 3 5 15(높음) 산소농도측정기 사용, 환기 주기 강화
용기 취급 낙하·충격으로인한 용기파손·폭발 이동 중 고정 불량, 부주의 전용카트 사용 2 4 8(중간) 보관 위치 고정, 낙하방지 체결
액화 알곤 누출 저온화상 밸브 불량, 보호장구 미착용 장갑 착용 1 4 4(낮음) 냉방작업보호구 추가 착용
 
예시2)
 
유해위험물질명 유해 위험요인 위험등급 안전보건대책 착안사항
A B C 관리
단계
실행내용
알곤 안전표지         용기에 MSDS표지 부착  
보관방법         위험물저장소에 보관  
        알곤 용기 캡 설치  
취급방법         전도방지시설 설치  
사용연한         알곤 용기 사용연한 확인  
압력게이지         압력게이지 설치하여 사용  
조인부 연결상태         호스 연결, 조인부는 전용연결구(반도) 사용  

※위험등급(A,B,C) 와 관리단계(1~4단계)는 현장 여건에 맞게 작성합니다.


💡 5. 실무 적용 팁

  • 알곤은 냄새가 없으므로 감지기 없이 사용 금지!
  • 밀폐공간에서는 반드시 산소농도 측정 후 작업 시작
  • 작업자는 질식 방지 교육 필수
  • 사용 후 반드시 밸브 잠금 및 잔류가스 배출
  • 알곤 저장용기는 넘어지지 않도록 체결 고정

📚 6. 관련 법령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19조 (산소결핍의 방지)
  •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제44조 (고압가스의 저장 및 운반)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별표 12 (질식위험작업)

✅ 7. 마무리 요약

알곤은 화재·폭발 위험은 낮지만,
사고가 발생하면 즉시 치명적인 질식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고위험 가스입니다.

👉 무색·무취의 침묵하는 위험물질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산소농도 측정, 환기관리, 작업자 교육을 통한 철저한 관리가 필수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