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자재 위험성평가표 유해요인 21

식재/나무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1. 식재/나무란?2. 식재/나무 주요 위험요소3. 식재/나무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4. 식재/나무 위험성평가표 예시5. 실무 적용 팁6. 관련 법령 및 자료7. 마무리🌱 1. 식재란?식재(植栽)는 조경공사 중 나무, 관목, 초화류 등을 정해진 위치에 심는 작업으로, 조경공간의 생태적·미적 기능을 구현하는 중요한 공정입니다.중장비 및 수작업이 혼용되며, 굴착, 운반, 고소작업, 삽질, 비료·농약 취급 등이 동반되어 다양한 위험이 존재합니다.⚠️ 2. 식재 주요 위험요소구분위험요소설명낙하나무 낙하크레인 인양 중 고정 불량, 작업자 부주의로 낙하 위험협착굴착기와 인력 간 협착중장비 근처 작업 시 협착 또는 충돌 사고 발생 우려절단·베임가지치기 및 설치 중 날카로운 도구전지가위, 톱 등 날붙이 사용 시 ..

전선관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1. 전선관이란?2. 전선관 주요 위험요소3. 전선관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4. 전선관 위험성평가표 예시5. 실무 적용 팁6. 관련 법령 및 자료7. 마무리🧱 1. 전선관이란?전선관(Electrical Conduit)은 전선을 외부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배선 경로를 체계적으로 정리해주는 배관 자재입니다. 종류로는 금속관(GI관), 비금속관(PVC, PE관), 플렉시블 전선관 등이 있으며, 건축물 내·외부 전기 배선 작업에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가볍고 길이가 긴 형태로 운반과 설치 시 협착·낙하·전기감전 등의 위험이 따릅니다.⚠️ 2. 전선관 주요 위험요소구분위험요소설명낙하전선관 또는 공구 낙하고소작업 중 자재·공구 낙하로 인한 부상절단·베임전선관 절단 시 베임전선관 단면이 날카로워 손·팔 베임 가..

PHC파일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1. PHC파일이란?2. PHC파일 주요 위험요소3. PHC파일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4. PHC파일 위험성평가표 예시5. 실무 적용 팁6. 관련 법령 및 자료7. 마무리🧱 1. PHC파일이란?PHC파일은 고강도 콘크리트와 긴장재(강선)를 사용해 원형으로 제조한 말뚝으로, 기초공사에서 건물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말뚝기초에 사용되며, 항타(Hammer), 압입, 드릴 등 다양한 공법으로 시공됩니다.길고 무거운 구조 특성상 낙하, 전도, 협착, 파손, 소음, 진동 등 복합적 위험이 따릅니다.⚠️ 2. PHC파일 주요 위험요소구분유해 위험요인설명낙하인양 중 파일 추락크레인 고정 불량 또는 와이어 풀림 등으로 인한 추락전도파일 세움작업 중 전도수직 세움 작업 중 파일 무게로 전도 위..

덕트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1. 덕트란?2. 덕트 주요 위험요소3. 덕트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4. 덕트 위험성평가표 예시5. 실무 적용 팁6. 관련 법령 및 자료7. 마무리 🧱 1. 덕트란?덕트(Duct)는 건축물의 환기, 냉난방, 배기, 배연 등을 위해 공기를 이송하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의 통로입니다. 주로 강판(갈바륨,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유리섬유 등으로 제작되며, 대형 건축물의 기계설비공사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주로 천장 고소에서 시공되며, 날카로운 모서리, 협소한 공간, 절단·용접 작업 등이 수반돼 다양한 안전사고 위험이 존재합니다.⚠️ 2. 덕트 주요 위험요소구분위험요소설명절단·베임덕트 절단면, 모서리날카로운 금속 절단면으로 인해 손·팔 베임 위험 존재협착끼임 사고설치 중 덕트와 구조물 사이 협소공간..

배관자재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1. 배관이란?2. 배관 주요 위험요소3. 배관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4. 배관 위험성평가표 예시5. 실무 적용 팁6. 관련 법령 및 자료7. 마무리 🧰 1. 배관자재란?배관자재는 건축물 내부 또는 외부에 물, 가스, 공기 등을 이송하기 위한 파이프 및 관련 부속품을 의미합니다.주로 PVC, 스틸, 동관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되며, 연결구, 밸브, 피팅류 등도 포함됩니다.배관자재는 절단, 용접, 이송 과정에서 다양한 재해 위험이 존재합니다.⚠️ 2. 배관자재 주요 위험요소구분위험요소설명절단·베임날카로운 자재 단면절단·절곡 시 손이나 팔의 베임 가능성화재가스배관 용접 작업 중 화재불꽃·고열 장비 사용 시 주변 가연물에 화재 위험질식밀폐공간 배관 작업환기 불량 시 유해가스 노출 및 산소결핍 위험협착무..

석재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1. 석재란?2. 석재 주요 위험요소3. 석재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4. 석재 위험성평가표 예시5. 실무 적용 팁6. 관련 법령 및 자료7. 마무리 🏗️ 1. 석재란?석재(Stone)는 천연 또는 인조로 만들어진 건축 마감재로, 건물 외장, 계단, 바닥 마감 등에 사용됩니다. 화강암, 대리석, 인조석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주로 절단, 연마, 가공 후 현장에서 시공됩니다.무게가 무겁고, 가공 시 분진이 발생하며, 표면이 미끄러운 특성이 있어 취급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2. 석재 주요 위험요소구분위험요소설명낙하석재 낙하 위험무거운 석재 운반·설치 중 고정 불량 또는 미끄러짐으로 인한 낙하 사고 위험절단·베임날카로운 단면 접촉절단 가공된 석재 모서리에 손, 팔이 베일 위험흡입석분 흡..

벽돌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1. 벽돌이란?2. 벽돌 주요 위험요소3. 벽돌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4. 벽돌 위험성평가표 예시5. 실무 적용 팁6. 관련 법령 및 자료7. 마무리🧱 1. 벽돌이란?벽돌(Brick)은 점토, 시멘트,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된 블록 형태의 건축 자재로, 주로 벽체 조적, 외벽 마감, 기초 보강 등에 사용됩니다.건식 조적 시공법으로 인한 시공 편의성과 내화성, 내구성이 뛰어난 점이 특징입니다. 최근에는 내장 마감재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2. 벽돌 주요 위험요소구분위험요소설명낙하자재 낙하고소 적재 또는 운반 중 벽돌이 떨어져 하부 인원에게 부상 초래 가능협착손·발 끼임 사고벽돌을 조적하는 중 손가락 끼임, 쌓기 중 벽돌 사이에 협착 우려무너짐/붕괴조적 중 구조 불안정미고정 상태에서 벽체..

타일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1. 타일이란?2. 타일 주요 위험요소3. 타일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4. 타일 위험성평가표 예시5. 실무 적용 팁6. 관련 법령 및 자료7. 마무리🧩 1. 타일이란?타일(Tile)은 점토, 석회석, 대리석, 도기, 세라믹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된 얇고 평평한 마감재입니다.주로 건물의 벽면, 바닥, 욕실, 외장 등에 사용되며, 내구성, 방수성, 미관 등을 동시에 만족시켜 널리 사용됩니다.작업은 일반적으로 바탕면 정리 → 접착제 도포 → 타일 붙임 → 줄눈 작업 순으로 이루어집니다.⚠️2. 타일 주요 위험요소구분위험요소설명미끄러짐습윤 상태에서의 전도바닥 또는 작업공간에 물기나 접착제가 남아 미끄러져 넘어질 위험절단·베임타일 절단 중 날 부상수동 또는 전동 절단기로 자를 때 손가락, 손바닥 베임 우..

유리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1. 유리란?2. 유리 주요 위험요소3. 유리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4. 유리 위험성평가표 예시5. 실무 적용 팁6. 관련 법령 및 자료7. 마무리 🧱1. 유리란?유리(Glass)는 건축물의 외장재, 실내 칸막이, 창호 등에 널리 사용되는 투명 건축 자재입니다.창문, 커튼월, 파티션, 욕실 등 다양한 장소에 활용되며, 일반유리 외에도 강화유리, 접합유리, 복층유리 등 형태에 따라 다양한 제품이 존재합니다.그러나 유리는 파손 시 예리한 파편이 발생할 수 있고, 중량이 큰 판유리는 운반·설치 시 다수의 위험요소를 동반합니다.⚠️2. 유리 주요 위험요소구분위험요소설명절단·베임파손 시 날카로운 유리 파편작업자 손, 팔, 얼굴 등 베임 위험낙하고소 또는 이동 중 낙하고층 설치 중 유리판 추락 시 중대재해..

판넬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1. 판넬이란?2. 판넬 주요 위험요소3. 판넬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4. 판넬 위험성평가표 예시5. 실무 적용 팁6. 관련 법령 및 자료7. 마무리 🧱 1. 판넬이란?판넬(Panel)은 건축물의 내·외장 마감재로 사용되는 자재로, 단열, 방수, 내화, 미관 등을 동시에 충족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으로 샌드위치 판넬, AL 판넬, 징크 판넬, EPS/우레탄 판넬 등이 있으며, 주로 벽체와 지붕에 적용됩니다.가볍지만 크고 길이가 길어 운반·설치 중 낙하, 전도, 절단 사고의 위험이 높습니다.⚠️ 2. 판넬 주요 위험요소구분위험요소설명낙하판넬 추락 사고크레인 이탈, 고정 불량, 고소작업 중 낙하로 인한 사고 가능성절단·베임날카로운 단면절단면 또는 고정핀 등에 의해 손, 팔 베임 발생 가능협착설치 중..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