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위험성평가_위험성평가표(양식).hwp
0.01MB
위험성평가표.pptx
0.04MB
1. 배관이란?
2. 배관 주요 위험요소
3. 배관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4. 배관 위험성평가표 예시
5. 실무 적용 팁
6. 관련 법령 및 자료
7. 마무리
🧰 1. 배관자재란?
배관자재는 건축물 내부 또는 외부에 물, 가스, 공기 등을 이송하기 위한 파이프 및 관련 부속품을 의미합니다.
주로 PVC, 스틸, 동관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되며, 연결구, 밸브, 피팅류 등도 포함됩니다.
배관자재는 절단, 용접, 이송 과정에서 다양한 재해 위험이 존재합니다.
⚠️ 2. 배관자재 주요 위험요소
구분 | 위험요소 | 설명 |
절단·베임 | 날카로운 자재 단면 | 절단·절곡 시 손이나 팔의 베임 가능성 |
화재 | 가스배관 용접 작업 중 화재 | 불꽃·고열 장비 사용 시 주변 가연물에 화재 위험 |
질식 | 밀폐공간 배관 작업 | 환기 불량 시 유해가스 노출 및 산소결핍 위험 |
협착 | 무거운 배관 끼임 | 이송 또는 고정 중 손·발 협착 우려 |
근골격계 질환 | 반복적인 작업 자세 | 배관 고정 및 천장 작업 등 지속적 불편자세로 인한 신체 피로 |
전도 | 긴 배관의 전도 위험 | 불안정한 적재 및 작업 시 전도 가능성 |
🛠️ 3. 배관자재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 유해·위험요인 파악
→ 절단, 이송, 용접, 고정, 조립 단계별 위험요소 도출 - 위험성 결정
→ 발생 가능성(F), 결과의 강도(S)를 수치화 - 위험성 판단
→ R = F×S로 위험도 도출 → 수용 가능 여부 결정 - 우선순위 결정
→ 위험도가 높은 작업을 우선 개선 대상으로 선정 - 개선대책 수립 및 실행
→ 보호구 착용, 작업 전 점검, 밀폐공간 환기, 교육 실시 등 조치 실행
📊 4. 배관자재 위험성평가표 예시
예시1)
작업단계 | 위험요소 | 발생 가능성(F) | 결과의 강도(S) | 위험도 ( R = F×S) |
위험등급 | 개선대책 |
배관 절단 작업 | 절단면 베임 | 3 | 3 | 9 | 보통 | 절단 전 고정, 장갑 착용 |
가스용접 작업 | 화재 위험 | 3 | 5 | 15 | 높음 | 방염포 설치, 화기 감시자 배치 |
밀폐공간 작업 | 질식 위험 | 3 | 5 | 15 | 높음 | 송풍기 사용, 산소농도 측정 |
배관 고정 작업 | 협착 위험 | 2 | 4 | 8 | 보통 | 작업 보조자 배치, 간격 유지 |
배관 고소설치 | 추락 위험 | 4 | 5 | 20 | 높음 | 안전대 착용, 작업발판 설치 |
반복 천장 작업 | 근골격계 질환 위험 | 3 | 3 | 9 | 보통 | 교대작업, 스트레칭 시행 |
예시2)
배관자재(설비)
순 | 자재명 | 자재 사용 작업명 | 유해 위험요인 | 위험등급 | 안전보건대책 | 착안 사항 |
|||
A | B | C | 관리 단계 |
실행내용 | |||||
배관 | 작업내용기입 | 절단시 날카로운 절단면에 의한 손 베임 | 절단 전 자재 고정 | ||||||
절단기 커버 및 작동 상태 점검 | |||||||||
작업용 절단방지 장갑 착용 | |||||||||
자재 이송시 무거운 자재에 의한 협착 및 요추부 부담 | 2인 이상 운반 또는 운반기구(카트 등) 사용 | ||||||||
평탄한 통로 확보 | |||||||||
이송 전 경로 사전 확인 | |||||||||
고소작업 시 높은 곳에서의 추락 | 안전대 착용 및 고정고리 체결 | ||||||||
안전작업발판 및 난간 설치 | |||||||||
고소작업 전 작업자 교육 실시 | |||||||||
용접시 불꽃·열에 의한 화재 및 화상 위험 | 용접 작업 시 방염포 설치 | ||||||||
소화기 비치 및 화기감시자 배치 | |||||||||
가연성 자재 사전 제거 | |||||||||
밀폐공간작업시 산소결핍 또는 유해가스에 의한 질식 | 산소 및 유해가스 측정기 사용 | ||||||||
송풍기, 환기장치 가동 | |||||||||
감시인 배치 및 출입기록 작성 | |||||||||
배관 조립시 배관 조립 중 손 끼임 및 공구 사고 | 협착 위험 시 간격 유지 및 보조자 배치 | ||||||||
공구 사용 전 이상 유무 점검 | |||||||||
보호장비(장갑, 보안경) 착용 | |||||||||
지속적인 불량자세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 | 작업 간 스트레칭 실시 | ||||||||
일정 시간 이상 고정작업 시 교대작업 시행 | |||||||||
적절한 작업 높이 조절 | |||||||||
적재 자재 전도 및 낙하 위험 | 규격별, 형상별 정리하여 적재 | ||||||||
바닥에 받침목 설치 | |||||||||
이동 중 흔들림 방지용 결박 실시 |
※위험등급(A,B,C) 와 관리단계(1~4단계)는 현장 여건에 맞게 작성합니다
🧰 5. 실무 적용 팁
- 절단 시 고정 필수: 배관 절단 전 작업대를 이용해 자재 고정
- 화기 작업 시 화재 대비: 인근 가연물 제거, 소화기·방염포 배치
- 밀폐공간 사전 점검: 작업 전 공기질 측정 및 환기장비 확보
- 무거운 자재는 인원 분담: 2인 이상 운반 또는 지게차 사용
- 작업 전 교육 반복 실시: 협착·절단 사고 예방 위한 반복교육 필수
📚 6. 관련 법령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조 (밀폐공간작업)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3조 (고소작업)
- 고용노동부 「배관작업 안전작업지침」
- 안전보건공단 「건축설비공사 안전관리 매뉴얼」
✅ 7. 마무리
배관자재는 다양한 재질과 크기를 갖는 자재로, 절단, 인양, 용접 등 여러 공정을 포함해 복합적인 위험이 따릅니다.
작업 전 단계별 위험요소를 분석하고, 보호구 착용, 작업계획 수립, 밀폐공간 점검 등의 예방조치를 철저히 시행해야 합니다.
🔒 “작은 관 하나가, 큰 사고를 막는다”
배관작업의 안전은 절차 준수와 사전 준비에서 시작됩니다.
'위험성평가표 > 자재 위험성평가표 유해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C파일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0) | 2025.06.10 |
---|---|
덕트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0) | 2025.06.09 |
석재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0) | 2025.06.07 |
벽돌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0) | 2025.06.07 |
타일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0) | 2025.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