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기구 설비 위험성평가표 유해요인

철근절곡기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기계/기구/설비)

chacha13 2025. 7. 1. 12:25
728x90
반응형

기계기구설비 위험성평가.pptx
0.04MB
위험성평가_위험성평가표(양식).hwp
0.01MB

1. 철근절곡기란?
2.철근절곡기 주요 위험요소
3. 철근절곡기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4. 철근절곡기 위험성평가표 예시
5. 실무 적용 팁
6. 관련 법령 및 자료
7. 마무리



🧰1. 철근절곡기란?

철근절곡기(Rebar Bender)는 건축 구조물에 사용되는 철근을 설계도에 맞게 굽혀 성형하는 장비입니다.
정해진 각도와 길이로 철근을 절곡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해 주며, 전기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고하중 기계입니다.

 

회전부와 고정부 사이의 끼임 위험이 높고, 기계 작동 중 손 접촉, 철근 튕김, 감전 등 중대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철저한 위험성평가가 필요합니다.


⚠️2. 철근절곡기 주요 위험요소

구분 위험요소 설명
끼임 회전부 또는 고정부에 손 끼임 절곡판과 고정핀 사이 손가락·팔 끼임 사고 가능성 높음 
철근 튕김 철근 반발 또는 고정 미흡 작업자 또는 주변 인원에게 충격 가능성 
감전 위험 누전 또는 전원 연결 이상 습기·노후 장비로 인한 감전 
기계적 충격 작동부 급작스런 움직임 기계 오작동 시 작업자 부상 
협소 공간 작업 주변 간섭 및 낙상 위험 통로 및 작업 공간 부족 시 위험 증가 
 

🛠️3. 철근절곡기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1. 위험요인 파악
    • 장비 사양, 사용 조건, 작업 위치, 주변 상황 등 고려
  2. 위험성 추정
    • 발생 가능성(L), 중대성(S) 산정
  3. 위험성 결정
    • 위험도(R = L × S) 계산
  4. 위험성 평가
    • 고위험/중위험/저위험 항목 분류
  5. 개선대책 수립
    • 고위험 요소 중심으로 방호장치, 절차, 교육 강화

📋4. 철근절곡기 위험성평가표 예시

예시1)

작업내용 위험요소 발생가능성
(L)
중대성
(S)
위험도
(R=L×S)
기존대책 개선대책 비고
철근 절곡 작업 회전판 끼임 3 5 15 없음 양손 조작장치 설치, 손 접근 방지 가이드 설치 고위험
절곡 중 철근 튕김 신체 충격 2 4 8 없음 철근 고정대 사용, 안전거리 확보 중위험
습한 환경 사용 감전 2 4 8 비닐 커버 사용 방수형 콘센트, 누전차단기 설치 중위험
작업 중 이동 협소 공간 충돌 2 3 6 없음 작업공간 확보, 바닥정리 저위험
기계 작동 중 보수작업 갑작스런 작동 3 5 15 구두 경고만 함 전원 차단 후 작업, 정지표시판 부착 고위험
 

예시2)

-철근절곡기 사용시 위험성평가

기계/기구/
설비명
기계/기구/설비
사용 
작업명
유해
위험
요인
위험등급 안전보건대책 착안
사항
A B C 관리
단계
실행내용
  철근절곡기   안전표지        
절단기 손가락 끼임주의 안전표지 부착
 
         
철근 규격별 절곡기 사용 갯수 표기
 
  안전장치        
비상정지장치 설치
 
         
작동중 접촉방지 센서 설치
 
  안전시설        
풋스위치 안전커버 설치
 
         
외함접지 설치
 
  설치구간        
근로자 통제를 위한 구획조치
 

※위험등급(A,B,C) 와 관리단계(1~4단계)는 현장 여건에 맞게 작성합니다.

 


🔧5. 실무 적용 팁

  • 양손 조작장치 필수 사용: 양손이 작동버튼에 있을 때만 작동되도록 설정
  • 🛑 회전부 방호커버를 반드시 설치하고 임의로 제거하지 말 것
  • 👷‍♂️ 작업 전 철근 고정 확인: 불안정한 철근은 튕김 위험
  • 📏 작업반경 이탈 금지: 절곡 중 갑작스런 반동을 고려
  • 🔌 기계 수리 시 전원 차단: 오작동 방지를 위한 기본 절차
  • 📋 일일 점검표 작성: 장비 이상 유무 사전 확인

📚6. 관련 법령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제105조(회전기계 방호장치)
    • 제237조(기계 위험 방지조치)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 제33조(기계·기구의 안전조치)
  • KOSHA GUIDE
    • A-60-2014(기계설비 방호조치 가이드)
  • 고용노동부 위험성평가 매뉴얼
    • 철근 가공 공정 사례 포함

✅7. 마무리

철근절곡기는 건설현장에서 반복적이고 필수적인 공정에 사용되는 장비지만, 방심하는 순간 손가락 절단, 골절, 감전 등의 중대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기계는 정확하지만, 사람은 실수할 수 있습니다."
항상 방호장치와 보호구를 착용하고, 숙련된 작업자만 기계를 운전해야 합니다.

사고 없는 절곡 작업을 위해, 오늘도 한 번 더 확인합시다!
정비는 OFF 상태에서, 작업은 거리 두고, 안전은 가까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