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기계기구설비 위험성평가.pptx
0.04MB
위험성평가_위험성평가표(양식).hwp
0.01MB
1. 와이어로프란?
2. 와이어로프 주요 위험요소
3. 와이어로프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4. 와이어로프 위험성평가표 예시
5. 실무 적용 팁
6. 관련 법령 및 자료
7. 마무리
🧵1. 와이어로프란?
와이어로프(Wire Rope)는 여러 가닥의 철사(와이어)를 꼬아서 만든 강력한 로프로,
주로 양중, 리프트, 크레인, 인양기구 등에 사용됩니다.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고정하는 데 필수적인 부자재이며, 높은 인장강도를 자랑하지만
부식, 마모, 단선 등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 2. 와이어로프 주요 위험요소
구분 | 위험요소 | 설명 |
단선 위험 | 과도한 하중, 마모, 부식 | 갑작스런 파단으로 인한 낙하 및 충돌 사고 |
손 베임 | 끊어진 와이어 가닥 | 로프를 맨손으로 다룰 경우 손 상처 및 절단 |
끼임 위험 | 로프 풀림 시 회전 또는 말림 | 손이나 옷이 말려 들어가는 끼임 사고 발생 가능 |
부식·열화 | 야외 장기 사용, 습기 노출 | 인장 강도 저하로 인한 예기치 못한 파단 |
부적절한 결속 | 클립, 소켓 미고정 | 하중 지지 실패, 장비나 인원 낙하사고 |
🛠️ 3. 와이어로프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 위험요인 파악
- 사용 위치, 하중 조건, 설치 상태, 점검 이력 등 확인
- 위험성 추정
- 발생 가능성(L), 중대성(S) 등급 부여
- 위험도 결정
- 위험도(R = L × S) 계산
- 위험성 평가
- 고/중/저위험으로 분류
- 개선대책 수립
- 부적절한 항목에 대해 기술적·관리적 개선 조치 적용
📋 4. 와이어로프 위험성평가표 예시
예시1)
작업내용 | 위험요소 | 발생가능성 (L) |
중대성 (S) |
위험도 (R=L×S) |
기존대책 | 개선대책 | 비고 |
로프 인양작업 | 단선 | 3 | 5 | 15 | 시각 점검 | 하중 기준 준수, 주기적 교체, 비파괴검사 적용 | 고위험 |
로프 핸들링 | 손 베임 | 3 | 3 | 9 | 없음 | 절단 방지 장갑 착용, 파손 시 폐기 | 고위험 |
설치 중 회전 말림 | 끼임 사고 | 2 | 4 | 8 | 없음 | 회전체 근접 금지, 양끝 고정, 교육 강화 | 중위험 |
습기·부식 노출 | 인장강도 약화 | 2 | 4 | 8 | 방치 | 방청유 도포, 실내보관, 사용전 강도 확인 | 중위험 |
결속 클립 풀림 | 하중 낙하 | 2 | 5 | 10 | 체결 미확인 | 와이어 클립 규격 사용, 3개 이상 체결, 작업 전 재점검 | 고위험 |
예시2)
-와이어로프 사용시 위험성평가
순 | 기계/기구/ 설비명 |
기계/기구/설비 사용 작업명 |
유해 위험 요인 |
위험등급 | 안전보건대책 | 착안 사항 |
|||
A | B | C | 관리 단계 |
실행내용 | |||||
와이어로프 | 와이어로프손상 |
와이어로프 수시, 정기점검 후 TAG부착
|
|||||||
와이어로프 손상분 발생시 절단하여 폐기조치
|
|||||||||
보관방법 |
와이어로프 사용 후 지정장소 보관
|
||||||||
U클립 체결방법 |
클립 체결시 직경 6배 간격, 16mm이하 4개,
16mm초과시 5개, 28mm초과 6개 체결 |
||||||||
연결고정방법 |
록(납봉) 가공, 클립 체결방법의 와이어로프 사용
|
※위험등급(A,B,C) 와 관리단계(1~4단계)는 현장 여건에 맞게 작성합니다.
🧠 5. 실무 적용 팁
- 항상 절단 방지 장갑 착용: 절단선은 육안으로 잘 안 보입니다.
- 와이어 10% 이상 끊어짐 시 즉시 교체
- 비파괴검사(NDT) 주기적 실시: 외관만으로는 내부 부식 파악 불가
- 하중 초과 사용 금지: 인양 하중은 항상 80% 이내로 설정
- 적절한 클립, 소켓 사용: 임의결속은 사고로 이어집니다
📚 6. 관련 법령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제239조(와이어로프 등의 점검 및 교체 기준)
- 제240조(권상장치의 방호조치)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 제38조(물체 취급 장비의 관리)
- KOSHA Guide
- B-158-2017 (양중기구의 안전사용 가이드)
- 기계설비 안전관리 기준서, 건설안전기술지침
✅ 7. 마무리
와이어로프는 보이지 않는 위험이 더 큰 장비입니다.
외형이 멀쩡해 보여도 내부가 마모되거나 부식된 경우, 작은 하중에도 단선되어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일상점검은 생명줄입니다.
🧤 보호구 착용, 점검표 작성, 정기교체만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로프 하나가 사람 하나의 생명이다.”
728x90
'기계 기구 설비 위험성평가표 유해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링벨트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기계/기구/설비) (3) | 2025.07.06 |
---|---|
체인블럭 레버블럭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기계/기구/설비) (0) | 2025.07.05 |
철근절단기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기계/기구/설비) (2) | 2025.07.02 |
철근절곡기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기계/기구/설비) (1) | 2025.07.01 |
핸드그라인더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기계/기구/설비) (0) |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