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기구 설비 위험성평가표 유해요인

와이어로프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기계/기구/설비)

chacha13 2025. 7. 3. 12:26
728x90
반응형

기계기구설비 위험성평가.pptx
0.04MB
위험성평가_위험성평가표(양식).hwp
0.01MB

1. 와이어로프란?
2. 와이어로프 주요 위험요소
3. 와이어로프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4. 와이어로프 위험성평가표 예시
5. 실무 적용 팁
6. 관련 법령 및 자료
7. 마무리



🧵1. 와이어로프란?

와이어로프(Wire Rope)는 여러 가닥의 철사(와이어)를 꼬아서 만든 강력한 로프로,
주로 양중, 리프트, 크레인, 인양기구 등에 사용됩니다.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고정하는 데 필수적인 부자재이며, 높은 인장강도를 자랑하지만
부식, 마모, 단선 등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 2. 와이어로프 주요 위험요소

구분 위험요소 설명
단선 위험 과도한 하중, 마모, 부식 갑작스런 파단으로 인한 낙하 및 충돌 사고 
손 베임 끊어진 와이어 가닥 로프를 맨손으로 다룰 경우 손 상처 및 절단 
끼임 위험 로프 풀림 시 회전 또는 말림 손이나 옷이 말려 들어가는 끼임 사고 발생 가능
부식·열화 야외 장기 사용, 습기 노출 인장 강도 저하로 인한 예기치 못한 파단 
부적절한 결속 클립, 소켓 미고정 하중 지지 실패, 장비나 인원 낙하사고 
 

🛠️ 3. 와이어로프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1. 위험요인 파악
    • 사용 위치, 하중 조건, 설치 상태, 점검 이력 등 확인
  2. 위험성 추정
    • 발생 가능성(L), 중대성(S) 등급 부여
  3. 위험도 결정
    • 위험도(R = L × S) 계산
  4. 위험성 평가
    • 고/중/저위험으로 분류
  5. 개선대책 수립
    • 부적절한 항목에 대해 기술적·관리적 개선 조치 적용

📋 4. 와이어로프 위험성평가표 예시

예시1)

작업내용 위험요소 발생가능성
(L)
중대성
(S)
위험도
(R=L×S)
기존대책 개선대책 비고
로프 인양작업 단선 3 5 15 시각 점검 하중 기준 준수, 주기적 교체, 비파괴검사 적용 고위험
로프 핸들링 손 베임 3 3 9 없음 절단 방지 장갑 착용, 파손 시 폐기 고위험
설치 중 회전 말림 끼임 사고 2 4 8 없음 회전체 근접 금지, 양끝 고정, 교육 강화 중위험
습기·부식 노출 인장강도 약화 2 4 8 방치 방청유 도포, 실내보관, 사용전 강도 확인 중위험
결속 클립 풀림 하중 낙하 2 5 10 체결 미확인 와이어 클립 규격 사용, 3개 이상 체결, 작업 전 재점검 고위험
 
예시2)

-와이어로프 사용시 위험성평가

기계/기구/
설비명
기계/기구/설비
사용 
작업명
유해
위험
요인
위험등급 안전보건대책 착안
사항
A B C 관리
단계
실행내용
  와이어로프   와이어로프손상        
와이어로프 수시, 정기점검 후 TAG부착
 
         
와이어로프 손상분 발생시 절단하여 폐기조치
 
  보관방법        
와이어로프 사용 후 지정장소 보관
 
  U클립 체결방법        
클립 체결시 직경 6배 간격, 16mm이하 4,
16mm초과시 5, 28mm초과 6개 체결
 
  연결고정방법        
(납봉) 가공, 클립 체결방법의 와이어로프 사용
 

※위험등급(A,B,C) 와 관리단계(1~4단계)는 현장 여건에 맞게 작성합니다.

 


🧠 5. 실무 적용 팁

  • 항상 절단 방지 장갑 착용: 절단선은 육안으로 잘 안 보입니다.
  • 와이어 10% 이상 끊어짐 시 즉시 교체
  • 비파괴검사(NDT) 주기적 실시: 외관만으로는 내부 부식 파악 불가
  • 하중 초과 사용 금지: 인양 하중은 항상 80% 이내로 설정
  • 적절한 클립, 소켓 사용: 임의결속은 사고로 이어집니다

📚 6. 관련 법령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제239조(와이어로프 등의 점검 및 교체 기준)
    • 제240조(권상장치의 방호조치)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 제38조(물체 취급 장비의 관리)
  • KOSHA Guide
    • B-158-2017 (양중기구의 안전사용 가이드)
  • 기계설비 안전관리 기준서, 건설안전기술지침

✅ 7. 마무리

와이어로프는 보이지 않는 위험이 더 큰 장비입니다.
외형이 멀쩡해 보여도 내부가 마모되거나 부식된 경우, 작은 하중에도 단선되어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일상점검은 생명줄입니다.
🧤 보호구 착용, 점검표 작성, 정기교체만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로프 하나가 사람 하나의 생명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