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비 위험성평가표 유해요인

레미콘트럭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

chacha13 2025. 5. 23. 10:13
728x90
반응형

 

위험성평가_위험성평가표(양식).hwp
0.01MB
위험성평가표.pptx
0.04MB

 

📌 레미콘트럭이란?

레미콘트럭(Mixer Truck)은 공장에서 제조된 콘크리트를 현장까지 운반하면서 지속적으로 회전시켜 굳지 않도록 하는 특수 차량입니다.
드럼 내부에 설치된 나선형 블레이드가 콘크리트를 혼합하고 운반 중에도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주요 사용 현장은 건축물 기초공사, 토목 슬래브, 도로포장 작업 등입니다.


⚠️ 레미콘트럭 주요 위험요소

구분 위험요인 설명
후진 충돌 시야 확보 어려움 후진 시 작업자 또는 시설물 충돌 가능
전도 과적, 경사로 이동 드럼 무게 중심 불균형으로 차량 전도 위험
협착 드럼 회전 중 청소 회전부 근처 접근 시 신체 협착 가능
추락 차량 상부 청소 작업 사다리·덮개 등에서 미끄러짐 가능
운행 중 사고 장시간 운전·피로 누적 졸음·부주의 운전으로 교통사고 위험
소음·진동 장시간 드럼 회전 운전자·근로자 청력 손상 가능성

 

 

🛠️ 레미콘트럭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① 작업 분석

  • 운반경로, 주차 위치, 혼합 작업, 청소작업 등 세부 공정 분석

② 유해·위험요소 도출

  • 후진 충돌, 협착, 낙상, 전도, 교통사고 등 작업별 리스크 파악

③ 위험성 평가 (L×S)

  • 가능성(4) × 중대성(5) = 20 → 고위험
  • 우선순위에 따라 개선대책 마련

④ 개선대책 수립

  • 유도자 배치, 차량 하차금지, 후방카메라, 회전부 방호장치 등

⑤ 조치 이행 및 재평가

  • 조치 완료 후 효과 확인, 재해발생 예방조치 여부 검토

📋 레미콘트럭 위험성평가표 예시

예시1)

항목 내용
공종 콘크리트 운반 및 타설
작업장비 레미콘트럭
위험요소 후진 충돌, 드럼 협착, 청소 중 추락, 전도 등
위험성 등급 후진·협착: 고위험 / 추락·전도: 중위험
개선대책 후진 시 신호수 배치 및 경광등 작동
드럼 내 청소 작업 금지 (외부 세척 원칙)
사다리 안전난간 설치 및 작업자 안전벨트 착용
경사로 주차 금지 및 제동장치 확인
작업 전 장비 점검표 운영 
실행자 차량 운전자, 유도자, 안전관리자
비고 작업 전·후 체크리스트 운영 권장
 

예시2)

장비명 장비 사용 작업명 유해 위험요인 위험등급 안전보건대책 착안
사항
A B C 관리
단계
실행내용
  레미콘
트럭
작업내용기입 안전표지            
  운전자격         대형 운전면허증 확인  
  안전장치            
  장비작업         레미콘트럭 정지위치 스톱퍼 설치  
  장비이동

        레미콘트럭 후진구간 신호수 배치  
          레미콘트럭 정지위치 스톱퍼 설치  
  장비차체            
  장비회전            
  장비대기(정비)            

※위험등급(A,B,C) 와 관리단계(1~4단계)는 현장 여건에 맞게 작성합니다.

 


🧰 실무 적용 팁

  • 드럼 내 진입 청소는 절대 금지, 불가피할 경우 드럼 정지 및 전원 차단 후 실시
  • 후방카메라 및 센서 점검은 매일 필수, 신호수 없이 후진 금지
  • 도착 현장 주변 보행자·작업자 유무 확인 후 후진 시작
  • 주차 시 평지 여부, 제동 상태 반드시 확인
  • 드럼 회전 중 장비 접촉 금지, 회전부 근처 접근 금지 표지 부착
  • 청소작업은 지면에서 가능한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 이상적

📚 관련 법령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37조(위험성평가)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10조(건설기계 작업 시 안전조치)
  • 안전보건공단 “건설기계별 위험성평가 매뉴얼”
  • KOSHA Guide A-154 (레미콘트럭 포함)

🧾 마무리

레미콘트럭은 건설현장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핵심 장비지만, 협착·추락·충돌 등 다수의 재해위험을 동반하는 차량입니다.
따라서 사전 위험성평가와 체계적인 교육, 안전조치 시행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작업자와 관리자 모두가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지속적인 점검과 위험요소 관리를 실천한다면,
대형사고를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