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위험물질 위험성평가표 유해요인

방동제 위험성평가표 작성법 및 주요 유해요인 정리(유해위험물질)

chacha13 2025. 7. 14. 11:50
728x90
반응형

위험성평가_위험성평가표(양식).hwp
0.01MB
유해위험물질 위험성평가표.pptx
0.04MB

1. 방동제란?
2. 방동 주요 위험요소
3. 방동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4. 방동 위험성평가표 예시
5. 실무 적용 팁
6. 관련 법령 및 자료
7. 마무리
반응형

🔍1. 방동제란? 정의 (Definition)

방동제(Anti-Freeze Admixture)는 겨울철 콘크리트 타설 시 동결로 인한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입니다.
주로 염화칼슘(CaCl₂), 질산염계, 무염 친환경 제품 등이 있으며, 콘크리트의 초기 수화 반응을 촉진해
저온에서도 응결·강도 발현을 가능하게 합니다.


⚠️2.  방동제 주요 위험요소 (Hazardous Factors)

구분 위험요소
🧪 피부·눈 자극 방동제 성분이 피부나 눈에 닿을 경우 자극, 염증 유발 가능
💨 흡입 위험 분말형 또는 분진 발생 시 작업자 호흡기 자극 가능
🔥 화재 위험 일부 제품은 인화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음 (드물지만 확인 필요)
🧱 콘크리트 부식 염화칼슘 등 염소계 방동제는 철근 부식, 내구성 저하 유발
🌍 환경오염 잔량을 토양이나 배수구에 무단 방류할 경우 환경 오염 유발
 

🛠3.  방동제 5단계 위험성 평가 절차 (Risk Assessment Procedure)

1️⃣ 유해위험요인 파악
→ 방동제의 성분, 혼입량, 취급 방식 등에서 발생 가능한 위험 식별

2️⃣ 위험성 추정
→ 발생 가능성(빈도) × 중대성(피해 수준)으로 위험도 계산

3️⃣ 위험성 결정
→ 계산된 위험도를 고·중·저 수준으로 구분

4️⃣ 우선순위 설정 및 개선대책 수립
→ 고위험 작업은 즉시 개선(보호구, 설비 변경 등)

5️⃣ 위험성 저감 후 재평가
→ 대책 시행 후 다시 위험도를 평가하여 적정 수준 유지


📊 4. 방동제 위험성 평가표 예시

예시1)

공종/공정 유해위험요인 발생원인 기존대책 발생가능성
(L)
중대성
(S)
위험도
(R=L×S)
개선대책
방동제 취급 피부 및 눈 자극 보호구 미착용, 직접 접촉 장갑 착용 권장 3 3 9 (중) 방수장갑, 보안경 착용 의무화
방동제 혼합 콘크리트 품질 저하 및 철근 부식 과량 혼입, 불균일 혼합 배합설계 준수 안내 2 4 8 (중) 무염계 제품 사용 권장, 배합비 검토 철저
용기 이동 및 보관 누출·미끄러짐 사고 마개 미체결, 적재 불량 뚜껑 닫고 이동 2 3 6 (중) 밀폐용기 사용, 운반 시 덮개 필수, 흡수포 비치
잔량 처리 환경 오염 현장 방류, 하수구 폐기 없음 3 4 12 (중) 잔량 회수, 지정 용기 회수함 비치, 지정폐기물 처리
 
예시2)
유해위험물질명 유해위험물질 사용 작업명 유해 위험요인 위험등급 안전보건대책 착안사항
A B C 관리
단계
실행내용
방동제 콘크리트
동결 방지용
안전표지         용기에 MSDS표지 부착  
보관방법         사용 후 유류저장소에 보관  
취급방법         소분용기  MSDS TAG 비치  
        근로자 휴게실에 MSDS 비치  
내용물 혼돈         용기에 물질명 표시  

※위험등급(A,B,C) 와 관리단계(1~4단계)는 현장 여건에 맞게 작성합니다.


💡5. 실무 팁 (Practical Tips)

  • 방동제 혼입 전 정확한 배합비 확인 필수 (지나친 첨가는 철근 부식 초래)
  • 작업 전 MSDS(물질안전보건자료)를 확인하고 작업자 교육 진행
  • 무염 방동제(질산염계, 아질산염계 등) 사용 시 부식 우려 감소
  • 방동제는 5℃ 이상 실온에서 보관하고, 동결되면 효과 저하되므로 창고 관리 중요
  • 도포 및 혼합 시 보호장갑과 보안경 착용 필수, 분진 발생 시 방진 마스크 착용

📜6. 관련 법령 (Relevant Regulations)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19조 (산소결핍의 방지) : 밀폐공간에서의 유기화학물질 사용 시 환기와 산소농도 측정 의무
  • 위험물안전관리법 제4조 및 별표1(위험물 분류) : 인화성 용제 포함 시 지정 수량 이상 보관 시 시설 기준 적용
  • 화학물질관리법 제39조 및 제40조(물질안전보건자료) : 방동제 성분에 대한 MSDS 작성·비치 및 폐기물 관리
  • 환경보건법 / 물환경보전법(관련 조항) : 방동제의 무단 방류 또는 폐기 시 수질·토양 오염 방지 기준 적용

 🧩7. 마무리 요약 (Conclusion)

동절기 콘크리트 시공 시 방동제는 필수적인 자재이지만,
피부 자극, 콘크리트 내구성 저하, 환경 오염 등 다양한 위험요소를 동반합니다.
따라서 방동제 사용 시에는 정확한 혼입량 준수, 보호구 착용, 잔량 폐기 관리, 법령 기준 준수가 필요합니다.
특히 염화칼슘계 방동제는 부식 위험이 있으므로, 가능하면 무염·친환경 방동제 사용을 권장합니다.

728x90